中외교부, “한국 폭력적 법집행 중단하라”

中외교부, “한국 폭력적 법집행 중단하라”

입력 2012-10-17 00:00
수정 2012-10-17 16: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어민사망 관련 정부차원 첫 반응… ‘관련자 처벌’ 요구도

중국 외교부 훙레이(洪磊) 대변인은 17일 자국 어민이 한국 해경이 쏜 고무탄에 맞아 숨진 것과 관련해 “한국이 폭력적인 법 집행을 중단하고 유사 사건 재발을 막기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는 전날 중국 어민 사망 사건 이후 중국 정부 차원에서 나온 첫 반응이다.

훙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사건 발생 직후 외교부 영사사(司·한국의 국 해당), 주한 중국대사관이 한국에 엄정 항의하면서 공정·책임 있는 조사를 통해 사건 원인을 철저히 밝혀내고 관련자를 처벌할 것을 요구했다”며 이 같이 말했다.

훙 대변인은 중국 외교부와 주한 중국대사관이 이번 사건의 처리 상황을 계속 주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훙 대변인은 이어 중국 어민의 한국 수역 내 불법 조업이 사건의 근본 원인이 아니냐는 물음에 “중국 정부는 어민들에 대한 교육과 관리를 강화하고 합법적인 조업을 요구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날 훙 대변인의 발언은 이날 새벽 주한 중국 대사관이 발표한 내용보다는 수위가 다소 낮아진 것이다.

중국대사관은 이날 새벽 발표한 성명에서 “한국 해경의 폭력적인 법 집행이 우리 어민의 사망을 초래한 것에 대해 한국에 강렬한 불만과 항의의 뜻을 전했다”며 “엄정하게 사건을 조사해 빨리 중국에 조사와 처리 결과를 통보해달라고 요구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