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세없는 복지는 허구’ 연설·국회법 파문으로 ‘루비콘강’ 건너
새누리당의 20대 총선 후보 공천심사 과정에서 당내는 물론 세인들의 가장 관심을 끈 대목은 유승민 의원이 과연 공천을 받을 수 있느냐, 배제되느냐 여부였다.이를 뒷받침하듯 새누리당은 후보 등록 시작을 1주일여밖에 남기지 않은 16일 오전까지 유 의원 공천문제를 매듭짓지 못하고 있다.
새누리당 공천관리위원회는 전날 공천심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유 의원과 가까운 이른바 ‘유승민 사단’으로 거론돼온 조해진, 류성걸, 이종훈, 홍지만 의원 등을 줄줄이 컷오프(공천배제) 시켰다.
대구·경북을 정치적 기반으로 ‘포스트 박근혜’를 노려왔던 유 의원은 이번 총선 공천에서 수족이 잘린 채 고립무원의 처지가 된 것은 물론 자신의 정치적 명운이 달린 공천 여부도 불투명해 정치적 위기를 맞고 있다.
여권내 친박(친박근혜)계의 집중적인 견제를 받고 있으며 ‘비박계의 상징’처럼 돼버린 유 의원은 처음에는 ‘원조 친박(친박근혜)’으로 분류됐다.
2004년 비례대표로 국회에 입성한 뒤 당시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의 비서실장으로 전격 발탁되면서 누구보다 박 대통령를 가까운 거리에서 보좌하며 특수관계를 유지했으나 지금은 여당 의원임에도 박 대통령과 정치적 대척점에 서 있다.
유 의원은 애초 한나라당 이회창 전 총재의 ‘경제교사’로 정계에 입문했다.
그러다가 ‘차떼기 사건’과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에 대한 역풍으로 존립을 위협 받던 시기에 치러진 2004년 17대 총선 때 박 대통령이 구원투수로 등장, 당을 기사회생 시킨 뒤 재건작업에 나서면서 유 의원을 비서실장으로 중용했다. 김무성 대표는 당시 당 사무총장으로서 이에 동참했다.
또 유 의원이 비례대표 의원직을 내려놓고 2005년 보궐선거에서 대구 동을로 출마해 지역구 배지를 거머쥘 때도 박 대통령의 지원사격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이런 인연으로 2007년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 때는 유 의원이 박근혜 캠프의 정책메시지 단장을 맡아 중추적 역할을 수행했다.
이처럼 돈독했던 두 사람의 관계는 2011년을 전후해 조금씩 금이 가기 시작했다.
비서실장 시절부터 직언을 해온 유 의원은 2011년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 체제가 들어선 뒤 박 대통령의 행보를 공개비판하기 시작했다.
새누리당으로 당명을 개정하고 당색을 빨간색으로 변경하는데도 강하게 반대했다.
친박계 입장에서는 유 의원의 이런 행보가 불편할 수밖에 없었고, 대통령과의 사이도 자연스레 멀어졌다.
유 의원은 2015년 초 새누리당의 원내사령탑으로 화려하게 복귀했지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증세 없는 복지는 허구’라고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 기조를 신랄하게 비판하는 등 청와대와 엇박자를 냈다.
행정입법에 대한 국회의 통제권을 강화하는 내용의 국회법 개정안을 청와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야당과 합의하면서 박 대통령과 유 의원의 관계는 루비콘 강을 건넜다는 평가가 나왔다.
박 대통령이 국회법 개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하며 ‘배신의 정치 심판론’을 내세워 유 의원을 겨냥하자 친박계를 중심으로 유 의원 사퇴압박에 나서 결국 지난해 7월 원내사령탑에 오른 지 5개월 만에 원내대표직을 내려놨다.
당시 유 의원은 원내대표 사퇴회견에서 “내 정치 생명을 걸고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임을 천명한 우리 헌법 1조 1항의 지엄한 가치를 지키고 싶었다”고 언급하며 박 대통령과 대립각을 세워 두 사람의 관계는 회복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특히 총선을 앞두고 대구에서 출마를 선언한 친박계 인사들인 이른바 ‘진박(진실한 친박)’들이 ‘박근혜 대통령 마케팅’에 나설 때 비판의 대상으로 겨낭한 핵심인물이 유 의원이란 점은 박 대통령과 유 의원의 관계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