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되기 위해 마음에 없는 사과… 가슴에 또 대못 박아”

“대통령 되기 위해 마음에 없는 사과… 가슴에 또 대못 박아”

입력 2012-09-25 00:00
업데이트 2012-09-25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혁당·유신 피해 유가족 냉담한 반응

“마음에도 없는 거짓말하지 말고 차라리 가만있어 달라.”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가 24일 인혁당 사건 등 과거사 문제를 공식 사과했지만 유족들과 유신 피해자들은 오히려 분개했다. 박 후보의 사과에 진정성이 전혀 보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특히 박 후보가 프롬프터를 통해 준비된 원고를 읽어 내려가던 중 인혁당의 오기인 ‘민혁당’을 그대로 읽은 것이 유족들의 화를 더 불렀다.

인혁당 피해자 고(故) 우홍선씨의 부인 강순희씨는 “처음부터 이런 말을 했으면 ‘그런 마음으로 정치하려나 보다’고 생각했을지 모르나 지금은 궁지에 몰려서 누가 써준 글을 그대로 읽는 느낌”이라며 “진심이 와 닿지 않는다.”고 말했다. 유가족들은 이날 오전 박 후보의 기자회견 직후 성명을 발표해 “지지율이 하락해 수세에 몰리게 되자 오직 대통령이 되기 위해 새삼 마음에도 전혀 없는 말로 사과를 한 게 아니냐.”며 “다시 한번 유족들의 가슴에 대못을 박는 일”이라고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유족들은 “최근 그의 이어진 발언으로 볼 때 이번 사과는 전혀 진심에서 나온 말이 아닌 것을 너무나도 분명히 알 수 있었다.”면서 “유족들을 두 번, 세 번 울리지 말라.”고 비난했다.

인혁당 피해자 유족 단체인 4·9 통일평화재단의 안주리 사무국장은 “유족들과 박 후보가 만날 일은 없을 것이다. 유족들은 박 후보가 자신들을 또 한 번 기만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박 후보는 5·16 쿠데타와 유신, 인혁당 사건 등이 헌법 가치를 훼손했다며 피해자에게 사과했지만 최근 논란을 일으킨 자신의 ‘두 개의 인혁당 판결’ 발언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지난 12일 서면브리핑을 통해 “2007년 (인혁당) 재심 판결에 대한 사법부의 최종 판단을 존중한다.”고 했을 뿐이다. 같은 날 유가족들은 박 후보를 규탄하며 새누리 당사를 찾았지만 문전박대를 당했다.

유신 시절 의문사한 장준하 선생의 아들 호권(63)씨는 박 후보의 사과를 “커닝페이퍼를 읽는 수준”이라고 혹평했다. 그는 “역사 인식이 없는 참모들이 써준 원고를 역사 인식이 전무한 박 후보가 그대로 읽은 것이 아니냐.”며 “연설 원고의 인혁당 오기 ‘민혁당’은 사전에 원고를 한두 차례 검토했더라도 고칠 수 있었던 것이고, 설령 오자를 잡지 못했더라도 박 후보가 역사 인식만 있었다면 즉석에서 고쳐 읽을 수 있었던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을 하고 싶었으면 제대로 할 것이지 어리석다.”고 덧붙였다.

박 후보의 과거사 사과에서 장준하 선생 타살 의혹이 빠진 데 대해서는 “장 선생 건은 아직 진행형이니, 건드리지 않고 조용히 있는 게 낫다고 판단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인혁당 사건으로 사형선고까지 받았던 민주통합당 유인태 의원은 “이전 발언에 비해 진전된 것은 맞지만 제대로 정리도 안 된 채 떠밀려 나온 듯해 씁쓸했다.”면서 “추가 사과는 기대하지도 않는다. 유족들의 아픈 상처에 소금을 뿌려대 더 이상 덧나게만 안 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인혁당 피해자 고 김용원씨의 부인 유승옥씨, 강순희씨 등 유가족은 오는 27일 국회에서 열리는 민주통합당 의원총회에 참석해 인혁당 사건 전말을 설명하고 박 후보 사과에 대한 유족들의 심정을 직접 밝힐 예정이다.

이현정기자 hjlee@seoul.co.kr

2012-09-25 4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