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군사개입 임박설에 국제 금융시장 요동

시리아 군사개입 임박설에 국제 금융시장 요동

입력 2013-08-28 00:00
업데이트 2013-08-28 03: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유럽증시 동반 하락…금 등 안전자산 가격 강세

시리아 정부군의 화학무기 사용과 관련해 미국 등 서방 국가들의 군사 개입이 초읽기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제 금융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27일(현지시간) 미국과 유럽 증시는 동반 하락하고 있으며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금과 미국 국채 등은 강세를 보이고 있다. 원유 가격도 뛰고 있다.

◇ 미국, 이르면 29일 시리아 공습

미국은 이르면 오는 29일께 시리아에 대해 미사일 공습을 단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NBC 방송은 미국 고위 관료를 인용해 빠르면 미군이 오는 29일께 시리아에 대한 첫 미사일 공격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브루나이를 방분 중인 척 헤이글 미국 국방장관은 이날 영국 BBC 방송과 인터뷰에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명령을 내리면 즉각 군사공격을 가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혀 미국의 시리아 군사개입은 오바마 대통령이 결정만 남은 것으로 보이다.

시리아 정부는 이런 서방의 군사개입 가능성에 대해 “모든 수단을 동원해 방어할 것이며 세계를 놀라게 할 것”이라고 밝혀 시리아 사태를 둘러싼 위기감은 고조되고 있다.

◇ 미국·유럽 증시 최대 2% 이상 하락…중동 증시 폭락

뉴욕증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양적완화 축소 우려에 이어 시리아 위기까지 겹쳐 이날 오전 11시30분 현재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다우 지수는 0.54%,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는 0.81%, 나스닥 지수는 1.02%의 낙폭을 각각 보이고 있다.

하락세로 출발한 유럽증시는 시리아 사태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낙폭이 확대됐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30 지수와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는 미국 동부시간으로 이날 오전 11시30분 현재 2% 이상의 내림세를 나타내고 있다.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0.63%의 하락세를 기록 중이다.

미국과 유럽에 앞서 마감한 아시아 증시에서도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한국의 코스피는 전날보다 0.11% 내렸고 일본 닛케이평균주가는 0.69%, 대만 가권지수는 0.94% 각각 하락 마감했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34% 상승했고 홍콩항셍지수는 0.59% 내렸다.

중동의 증시는 폭락했다.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증시의 DFM지수는 전날보다 7.0% 떨어져 금융위기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아랍권 최대 규모인 사우디아라비아 증시의 TASI지수도 전날보다 4.12% 떨어졌고 UAE 아부다비 증시의 ADX지수는 2.83% 하락했다.

◇ 금·미국 국채 등 안전자산 가격 상승…유가 3% 상승중

금과 미국 국채 등 안전자산 가격은 위기감이 반영돼 상승하고 있다.

뉴욕시장에서 금 가격은 전날보다 1.8% 이상 오르며 온스당 1,400 달러를 넘어섰다.

은과 구리 등 다른 원자재 가격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국채는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면서 수익률(금리)이 하락했다.

미국의 5년 만기, 10년 만기, 30년 만기 국채의 금리는 이 시각 현재 전날보다 0.017∼0.03%포인트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시리아에 대한 서방의 공습 우려로 중동의 지정학적 위험도가 다시 커지자 국제 유가는 급등하고 있다.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2.8% 이상 오른 배럴당 108.97 달러를 기록하고 있고 브렌트유는 3.00% 오른 배럴당 114.05 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 신흥국 통화 가치 급락

주요 신흥국의 통화 가치는 이날 잇따라 최저치를 경신했다.

인도의 루피화 가치는 장중 한때 달러당 66.07루피로 급락, 사상 최저치를 갈아치웠다.

인도네시아의 루피아화 가치도 달러당 10,905루피아로 2009년 4월 이후 최저치까지 떨어졌다.

말레이시아의 링깃화는 달러당 3.3270링깃으로 3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으며, 필리핀 페소화도 달러당 44.50 페소로 2년 반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태국 바트화 가치도 달러당 32.14바트로 전날 달러당 31.94바트보다 하락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연준의 양적완화 축소 우려로 신흥국에서 자금 이탈이 나타난 상황에서 시리아 사태에 대한 위기감이 증폭돼 신흥국들의 통화 가치가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