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이은 산악인 사망 사고, 사태 수습에 총력

연이은 산악인 사망 사고, 사태 수습에 총력

입력 2013-05-22 00:00
수정 2013-05-22 16: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틀을 연달아 산악인의 사망 소식이 들려옴에 따라 침통함을 금치 못하는 가운데 산악계가 사태 수습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히말라야 14좌를 완등한 김창호 원정대의 서성호(34) 대원은 에베레스트(8,848m)를 등정하고 하산하던 중 21일 새벽 숨진 채 발견됐다.

칸첸중가(8,586m)를 등정한 박남수(47) 등반대장도 같은 날 하산하다가 일행에게 시신이 발견됐다.

산악계는 잇따른 비보에 안타까워하면서도 사태 수습에 전념하는 모습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남은 대원들의 안전한 하산이다.

서 대원이 속한 김창호 원정대는 현지 통신 상황이 좋지 않아 직접 연락이 닿지는 않지만 하산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 등반대장과 함께 칸첸중가를 오른 김홍빈 원정부대장도 설맹으로 한 쪽 시력을 잃고 탈진까지 겹친 가운데 다른 대원들의 부축을 받아 하산하고 있다.

이들 사망한 산악인이 속한 지역 산악연맹은 남은 원정대의 하산이 진행됨에 따라 시신 운구 계획도 실행하고 있다.

서 대원이 총무이사로 있는 대한산악연맹 부산연맹은 22일 오전 운구 작업을 시작해 23일에는 베이스캠프로 운구할 수 있다고 밝혔다.

날씨가 좋다면 25일 네팔 카트만두까지 옮길 예정이다. 서 대원의 유족이 카트만두를 찾아 시신을 확인한 후 화장할 것으로 보인다.

박 등반대장이 속한 대한산악연맹 광주연맹은 사망 소식이 늦게 전해진 만큼 아직 실제로 운구를 하지는 못한 상태다.

현재 그의 시신은 침낭으로 묶어 발견된 장소에 보존해뒀다.

광주연맹의 관계자는 “박 등반대장의 시신은 헬기가 뜰 수 있는 캠프2까지는 인력으로 옮길 예정”이라며 “몬순(계절풍)이 불기 전까지는 시신을 수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