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1급 혹고니 이동경로 국내 첫 확인

멸종위기 1급 혹고니 이동경로 국내 첫 확인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2-02-06 14:36
수정 2022-02-06 14: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동경로 첫 확인된 멸종위기 1급 혹고니
이동경로 첫 확인된 멸종위기 1급 혹고니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혹고니’가 국내에서 겨울을 나고 있는 것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오리과 대형 조류인 희귀 겨울철새 혹고니가 몽골에서 국내로 이동해 지내고 있다고 6일 밝혔다. 혹고니는 흰색 몸에 주황색 부리 아랫 부분이 검은 색이고 눈 앞에 검은색 혹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자원관 국가철새연구센터는 2017년부터 몽골 야생동물과학보전센터와 연구협약을 맺고 몽골 동부지역에서 번식하는 철새들의 이동을 추적하고 있다. 몽골 연구진이 지난해 7월 14일 혹고니 번식지인 몽골 동부 부이어호수에 사는 혹고니 1마리에 위치추적발신기를 부착한 뒤 국가철새연구센터 연구팀은 이동경로를 추적해왔다.

그 결과, 혹고니는 지난해 10월 15일 번식지에서 이동을 시작해 10월 16일에 북한 두만강 하류쪽 동번포에 도착했고 나흘 뒤인 10월 20일에 강릉으로 내려온 것이 확인됐다. 이후 동해안 일대를 오르내리며 머물다가 12월 4일 인천 영종도로 이동해 황해도 해안과 안산 시화호, 당진 삽교호를 거쳐 충남 보령일대까지 이동해 현재 인근에 머물고 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GPS로 추적한 혹고니의 이동경로
GPS로 추적한 혹고니의 이동경로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연구팀에 따르면 혹고니는 번식지를 떠난 지난해 10월 15일부터 1월 12일까지 최소 2691㎞를 이동했다. 이번 연구는 아시아 지역에서 번식하는 멸종위기종 혹고니의 이동경로가 확인된 최초 사례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