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오전 미호천 제방 유실로 침수된 충북 청주시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 수색구조현장에서 경찰 관계자들이 희생자 유류품 수색이 이어지고 있는 지하차도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18일 오전 미호천 제방 유실로 침수된 충북 청주시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 수색구조현장에서 경찰 관계자들이 희생자 유류품 수색이 이어지고 있는 지하차도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송 지하차도 침수’ 참사 사고를 전담하는 수사본부에 서울경찰청 소속 경찰이 대거 투입된다. 충북 경찰의 미흡한 대처가 참사를 키웠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다.
경찰청은 19일 송영호 충북청 수사부장(경무관)이 맡은 수사본부장을 김병찬 서울청 광역수사단장(경무관)으로 교체하기로 했다. 김근준·김종필 수사부 치안지도관을 포함해 강력범죄수사대 소속 수사관 40여명(경정 2명),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 소속 1개 수사팀도 수사본부에 파견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보강안은 윤희근 경찰청장의 최종 결재만 남은 상태다. 파견 계획이 확정되면 기존 수사본부 인력 88명에 광역수사단 소속을 더해 130명 안팎 대규모 수사팀이 꾸려지게 된다.
경찰 관계자는 “참사가 발생한 지역의 경찰이 참사 원인 등을 조사하는 건 공정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다”며 “이에 서울청에서 인원을 대거 파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경찰은 충북경찰청 수사부장을 본부장으로 한 88명 규모의 오송 지하차도 침수 참사 수사본부를 구성했다.
그러나 사고 당일 ‘지하차도를 통제해 달라’는 등의 112 신고가 접수됐는데도 다른 장소로 출동하거나 교통 통제를 하지 않는 등 대처에 미흡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책임론이 불거졌다.
김예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