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노조 경영’을 이어오고 있는 삼성그룹의 계열사에서 8번째로 노동조합이 출범했다. 경비업체 삼성에스원 노동조합이 지난 3일 고용노동부로부터 노조 설립 필증을 받은 것이다.
이미지 확대
삼성에스원 노동조합 설립 기자회견 4일 서울 중구 삼성에스원 본사 앞에서 열린 삼성에스원 노동조합 설립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살인적인 근무시간, 성과주의, 관리자의 갑질 등을 비판하는 퍼포먼스를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삼성에스원 노동조합 설립 기자회견
4일 서울 중구 삼성에스원 본사 앞에서 열린 삼성에스원 노동조합 설립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살인적인 근무시간, 성과주의, 관리자의 갑질 등을 비판하는 퍼포먼스를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삼성에스원 노조는 4일 서울 중구 순화동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무노조 경영 폐단을 바로잡고, 직원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보호하기 위해 노조를 설립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민주노총 전국서비스산업노련에 가입했다.
노조는 회견에서 “삼성에스원 출동요원이 월평균 290시간 노동을 하고 있으며 1년 미만 퇴사율이 30%에 육박한다”면서 “살인적인 노동조건을 개선하겠다”고 예고했다. 이어 “현재 직원 70%가 성과연봉제형 임금을 적용받고 있으나 실력 중심 문화보다 ‘줄서기 문화’가 팽배해지는 등 폐단이 있다”면서 성과연봉제 폐지도 요구했다.
관리자들의 ‘갑질 문화’도 없애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견장에는 삼성에스원 직원들이 다수 나와 회견 현장을 촬영하고 이어폰과 무전기로 상황을 보고하는 듯한 모습도 목격됐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