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오후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故 이어령 초대 문화부 장관의 빈소. 2022.2.26 청와대 제공
시인인 이근배 전 대한민국예술원 회장과 곽효환 한국문학번역원장을 비롯해 김홍신·박범신·유현종 소설가, 오탁번 시인, 문학평론가 김화영 고려대 명예교수 등이 빈소를 찾았다.
박범신 작가는 “개발 이데올로기가 전 사회를 지배하고 있을 때 인문학적 마인드로 세계를 폭넓게 봐야 한다고 가르쳐주신 매우 소중한 역할을 하신 분이다. 우리 사회가 아쉬워해야 할 분”이라며 “고등학교 2학년 때 이어령 선생이 쓰신 ‘흙 속에 저 바람 속에’를 읽고 받은 충격이 문학의 길로 들어서는 소중한 실마리가 됐다”며 애도를 표했다.
곽효환 번역원장은 “이어령 선생은 평생 청년에게 표상이 된 분”이라며 “청년 시절부터 걸어온 길을 보면 안주하지 않고 끊임없이 지적 모험을 감행한 분”이라고 했다.
빈소는 문재인 대통령과 이명박 전 대통령, 김부겸 총리, 문화예술계 단체 등이 보낸 조화로 가득 찼다. 정치권에서는 김부겸 국무총리와 이홍구 전 국무총리가 빈소를 찾았다. 전날에는 문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이 조문했다.
원불교 나상호 교정원장도 이날 “이어령 초대 문화부 장관의 열반에 깊은 애도를 전한다”며 “시대의 지성으로 통찰의 지혜를 나눠주셨던 선생의 평화로운 영면을 빈다”고 전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 온라인 공간에서도 추모 메시지가 이어졌다. 투병 중이던 이 전 장관을 몇차례 만났다는 정재승 카이스트 교수는 페이스북에 “여러 성찰을 할 수 있었던 아주 각별한 경험이었다”며 “한 지식인의 마지막을 함께 하면서 저도 제 삶의 마지막을 떠올려보았다. 학자는 어떻게 죽음을 맞이해야 할까요? 선생님이 제게 주신 질문”이라고 고인을 추억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