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유치원, 학교만큼 급한데…검사키트 못 받는 아동시설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만큼 급한데…검사키트 못 받는 아동시설

오세진 기자
입력 2022-02-21 17:30
수정 2022-02-21 23: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어린이집 등 교사까지 검사키트 무상 지원
아동시설 직원들은 제외…자비로 구입해야
“아동시설 감염 취약…지원 필요” 목소리

서울 종로구 중부교육지원청 직원들이 21일 관내 유치원 및 학교 관계자에게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용 자가검사키트를 배부하고 있다. 2022.2.21 연합뉴스
서울 종로구 중부교육지원청 직원들이 21일 관내 유치원 및 학교 관계자에게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용 자가검사키트를 배부하고 있다. 2022.2.21 연합뉴스
정부가 코로나19 감염 규모가 계속 커지는 상황에서 어린이, 노약자 등 감염 취약 대상에게 신속항원검사용 자가검사키트를 무상 지원하겠다고 밝혔지만, 정작 보호가 필요한 아동이 공동생활을 하는 아동복지시설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린이집, 유치원, 초중고교 교사와 달리 지급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아동복지시설 직원들은 감염 위험이 높은 곳에서 일하고 있는데도 차별을 받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경기도 수원교육지원청에서 21일 오후 관내 유치원과 초중고교에 무상 배포할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용 자가검사키트 물량을 점검하고 있다. 2022.2.21 사진공동취재단. 연합뉴스
경기도 수원교육지원청에서 21일 오후 관내 유치원과 초중고교에 무상 배포할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용 자가검사키트 물량을 점검하고 있다. 2022.2.21 사진공동취재단. 연합뉴스
늘어나는 사용량, 부족한 물량수도권 지역의 한 아동복지시설은 지난 3일 이후 관할 구청 안내에 따라 시설 내 아동과 직원 전원이 1주일에 1차례 선별진료소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받고 있다. 대기 인원이 많다보니 아이들이 바깥에서 오래 기다릴 수밖에 없고 감기에 걸리는 아이도 있어 만 6세 미만 영유아들은 시설 안에서 자가검사키트로 검사를 진행한다.

그런데 지난해 10월 후원받은 검사키트(300개)를 아껴서 쓰고 있지만 이제 남은 물량은 80여개뿐이다. 60여명의 아동을 돌보는 이 시설에는 직원 40여명이 근무하고 있다.

이 시설 직원 정모(34)씨는 21일 “선별진료소에서 검사를 받기 어려운 공휴일에도 대비해야 하고,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에게 검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라도 검사키트를 굉장히 아껴써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사진은 서울 중구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지난 19일 시민들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모습. 2022.2.19 연합뉴스
사진은 서울 중구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지난 19일 시민들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모습. 2022.2.19 연합뉴스
최근 아동복지시설의 자가검사키트 사용 횟수는 늘고 있지만 약국과 편의점에서 사고 싶어도 살 수 없는 품귀 현상은 여전하다.

수도권의 다른 아동양육시설에서 근무하는 김모(40)씨는 “이달 초에 시설 자체적으로 선제검사 차원에서 자가검사키트 500개를 겨우 구입했고 지금은 400개 정도 남았다”고 했다.

이어 “시설 내 아동과 직원 등 100여명이 한 주에 한 번씩만 쓰면 끝”이라며 “검사키트를 사고 싶어도 구할 데가 없고 가격도 전보다 올라 부담이 크다”고 답답함을 감추지 못했다.
사진은 서울 시내의 한 편의점에서 지난 20일 직원이 자가검사키트를 소분하고 있는 모습. 2022.2.20 연합뉴스
사진은 서울 시내의 한 편의점에서 지난 20일 직원이 자가검사키트를 소분하고 있는 모습. 2022.2.20 연합뉴스
백신 접종 때도 소외된 아동시설 직원들정부는 이날부터 전국 각 교육지원청을 통해 유치원, 초중고교에 자가검사키트를 무료로 배포하기 시작했다. 어린이집과 노인복지시설에도 오는 28일부터 관할 시·군·구에서 검사키트를 무상 지급할 예정이다.

시설보호아동도 유치원, 초등학교 등에서 검사키트를 전달받을 수 있다는 게 정부 설명이지만, 감염 취약시설인 아동복지시설에서 일하는 직원들은 자비로 검사키트를 구입해야 하는 상황이다. 어린이집·유치원·초등학교 1~2학년 교사가 지난해 7~8월 코로나19 백신 우선 접종을 받을 때도 아동복지시설 직원은 접종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정씨는 “어린이집 등에서 아이들에게 검사키트를 나눠주면 시설 내 검사키트 물량 부족 문제는 개선되겠지만 시설 직원들은 지난해 백신 접종 때와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지원에서 배제됐다”고 말했다.
사진은 서울 시내의 한 약국에서 지난 15일 소분하여 판매하고 있는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용 자가검사키트의 모습. 2022.2.15 연합뉴스
사진은 서울 시내의 한 약국에서 지난 15일 소분하여 판매하고 있는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용 자가검사키트의 모습. 2022.2.15 연합뉴스
지방자치단체 지원도 받기 어려워지방자치단체에 도움을 요청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아동 40여명이 생활하는 아동양육시설을 운영 중인 최모(62) 원장은 “관할 지자체에 검사키트를 지원해줄 수 있냐고 물었더니 ‘물량이 부족하다’며 시설에서 직접 구입하라는 말을 들었다”고 말했다.

한국아동복지협회가 최근 전국 아동복지시설 중 258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99곳(38.4%, 지난 11일 기준)에서 확진자가 나왔다.

협회 관계자는 “단체 생활을 하는 시설보호아동 1명이 코로나19에 감염될 경우 시설 전체로 감염이 확산될 위험이 매우 높다”면서 “최근 무증상 확진자도 많은 만큼 아동복지시설에 대해서도 선제적인 예방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