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등 교사까지 검사키트 무상 지원
아동시설 직원들은 제외…자비로 구입해야
“아동시설 감염 취약…지원 필요” 목소리


서울 종로구 중부교육지원청 직원들이 21일 관내 유치원 및 학교 관계자에게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용 자가검사키트를 배부하고 있다. 2022.2.21 연합뉴스
특히 어린이집, 유치원, 초중고교 교사와 달리 지급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아동복지시설 직원들은 감염 위험이 높은 곳에서 일하고 있는데도 차별을 받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경기도 수원교육지원청에서 21일 오후 관내 유치원과 초중고교에 무상 배포할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용 자가검사키트 물량을 점검하고 있다. 2022.2.21 사진공동취재단. 연합뉴스
그런데 지난해 10월 후원받은 검사키트(300개)를 아껴서 쓰고 있지만 이제 남은 물량은 80여개뿐이다. 60여명의 아동을 돌보는 이 시설에는 직원 40여명이 근무하고 있다.
이 시설 직원 정모(34)씨는 21일 “선별진료소에서 검사를 받기 어려운 공휴일에도 대비해야 하고,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에게 검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라도 검사키트를 굉장히 아껴써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사진은 서울 중구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지난 19일 시민들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모습. 2022.2.19 연합뉴스
수도권의 다른 아동양육시설에서 근무하는 김모(40)씨는 “이달 초에 시설 자체적으로 선제검사 차원에서 자가검사키트 500개를 겨우 구입했고 지금은 400개 정도 남았다”고 했다.
이어 “시설 내 아동과 직원 등 100여명이 한 주에 한 번씩만 쓰면 끝”이라며 “검사키트를 사고 싶어도 구할 데가 없고 가격도 전보다 올라 부담이 크다”고 답답함을 감추지 못했다.


사진은 서울 시내의 한 편의점에서 지난 20일 직원이 자가검사키트를 소분하고 있는 모습. 2022.2.20 연합뉴스
시설보호아동도 유치원, 초등학교 등에서 검사키트를 전달받을 수 있다는 게 정부 설명이지만, 감염 취약시설인 아동복지시설에서 일하는 직원들은 자비로 검사키트를 구입해야 하는 상황이다. 어린이집·유치원·초등학교 1~2학년 교사가 지난해 7~8월 코로나19 백신 우선 접종을 받을 때도 아동복지시설 직원은 접종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정씨는 “어린이집 등에서 아이들에게 검사키트를 나눠주면 시설 내 검사키트 물량 부족 문제는 개선되겠지만 시설 직원들은 지난해 백신 접종 때와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지원에서 배제됐다”고 말했다.


사진은 서울 시내의 한 약국에서 지난 15일 소분하여 판매하고 있는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용 자가검사키트의 모습. 2022.2.15 연합뉴스
한국아동복지협회가 최근 전국 아동복지시설 중 258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99곳(38.4%, 지난 11일 기준)에서 확진자가 나왔다.
협회 관계자는 “단체 생활을 하는 시설보호아동 1명이 코로나19에 감염될 경우 시설 전체로 감염이 확산될 위험이 매우 높다”면서 “최근 무증상 확진자도 많은 만큼 아동복지시설에 대해서도 선제적인 예방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