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것이 왔다’..코로나19에 이어 고원성 AI로 전국 축산농가 초긴장

‘올 것이 왔다’..코로나19에 이어 고원성 AI로 전국 축산농가 초긴장

최종필 기자
최종필 기자
입력 2020-11-29 13:08
수정 2020-11-29 13: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북도, 가금류 39만여마리 살처분

제주도, 오는 30일부터 전북지역 가금류 반입금지

“2010년부터 닭을 기르고 있는데 이런 일은 처음이네요. 아주 건강한 상태인데도 살처분해야 해서 너무 고통스럽기만 합니다.”

전북 정읍시 기린마을서 닭 농장을 운영하는 김모씨는 “오전 8시부터 시작한 소각 작업이 하루 종일 걸릴 것 같다”며 “자식 같이 정성들여 온 닭 7만 2000마리가 살처분 되는 모습을 보는게 너무 고통스럽다”고 한숨을 쉬었다. 김씨는 “누구 보다도 청결하게 농장을 관리하고 있는데도 잊을만 하면 되풀이 되고 있어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기만 한다”고 눈물을 보였다.

코로나19에 이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해 전국 축산농가에 비상이 걸렸다. 경기 안성천과 정읍 동진강 등의 철새 분변에서도 AI가 검출됐다.

전북도는 지난 28일 정읍시 육용 오리농장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생겨 인근 가금류 39만여 마리를 예방 차원에서 살처분했다. 가금농장에서 고병원AI가 발생한 경우는 2018년 3월 17일 이후 2년 8개월 만이다. 오리농장과 반경 3㎞ 이내 6농가의 닭 29만 2000마리, 오리 10만마리 등 총 39만 2000마리다. 이 농장과 반경 10㎞ 내에는 60농가가 총 261만여마리의 가금류를 사육하고 있다. 앞서 도 방역 당국은 지난 27일 고병원성 AI 의심 가축이 나온 육용 오리 농장의 오리 1만 9000 마리를 예방적 살처분했다.

고병원AI가 일어난 주변 지역의 김만수 신천마을 이장은 “마을 입구에 차단막이 설치돼 있어 심각성을 느끼게 하고 있다”며 “모두 한숨만 쉬면서 전전긍긍하고 있어 안쓰럽기만 하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농식품부는 28일 0시부터 48시간 동안 전국 가금농장, 축산시설, 축산차량에 일시이동중지 명령을 발령했다. 정읍지역 가금류는 7일 동안 이동중지 된다.

인근 지자체인 전남도는 AI 차단 방역 조치를 대폭 강화했다. 도는 광역방제기·살수차·드론·시군·농협 등의 소독 차량을 총동원해 도내 철새도래지 20곳에서 주변 도로와 인접 농가 소독을 실시하고 있다. 긴급방역비 24억원을 투입해 가금 농가에 생석회 차단방역 벨트도 만들도록 할 방침이다. 차량·사람의 출입도 엄격히 통제한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전날 도내에 겨울 철새가 가장 많이 머무르는 영암군 방역 현장을 방문하고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차단을 위해 현장 방역에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제주도도 오는 30일부터 전북지역의 가금류와 생산물(고기, 계란, 부산물 등)반입을 금지한다. 상황이 해제될 때까지 공항만 가금 및 생산물에 대한 불법 반입 지도·단속을 강화하고, 입도객과 축산차량에 대한 소독을 강화하기로 했다. 가금농가 전체 166호(252만4000마리)에 대한 지속적인 예찰과 검사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무안 최종필 기자 choijp@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