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주 뺑소니 처벌’ 전직 부장판사, 변호사 등록 거부당해

‘음주 뺑소니 처벌’ 전직 부장판사, 변호사 등록 거부당해

입력 2017-08-17 17:12
수정 2017-08-17 17: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음주 운전 사고를 내고 달아나 형사처벌과 징계를 받은 전직 부장판사가 변호사 등록을 신청했지만 거부당했다.

17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지방변호사회(회장 이찬희)는 최근 장모(44·사법연수원 28기) 전 부장판사의 변호사 등록 신청을 거부했다.

서울변회 측은 “물의를 일으킨 당사자인 만큼 변호사 등록을 자제하는 게 어떻겠냐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변호사법은 공무원 재직 중의 위법행위로 인해 형사소추되거나 징계 처분을 받는 경우, 또는 위법행위와 관련해 퇴직한 사람으로서 변호사 직무 수행이 부적당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변호사 등록을 거부할 수 있다고 규정한다.

장 전 부장판사는 지난해 11월 밤 경기도 여주시 영동고속도로에서 음주 운전을 하다가 교통사고를 낸 뒤 현장을 벗어난 혐의로 불구속 기소됐다.

당시 장 전 부장판사의 혈중알코올농도는 면허 정지에 해당하는 0.058%로 파악됐다.

장 전 부장판사는 사고 직후 현장을 떠났다가 약 2시간 뒤 경찰에 자수했다. 그는 경찰 조사 단계에서 자신의 신분을 회사원이라고 했다가 사건이 검찰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신분이 드러나 논란이 됐다.

장 전 부장판사는 이 사건으로 벌금 800만원의 처벌을 받았고, 대법원 법관징계위원회에서 감봉 4개월의 징계를 받은 뒤 사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