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환경부·주한미군, 내달 17일 환경분과위 개최
주한미군이 환경부·서울시와 용산 미군기지 기름 오염문제와 관련, 기지 내부조사를 할 지에 대해 처음으로 논의한다.31일 서울시와 환경부에 따르면 다음 달 17일 열리는 환경부와 주한미군 간 환경분과위원회의 의제로 반환기지 문제와 더불어 기지 내부조사 건(件)을 채택했다. 주한미군 측은 이 회의에 서울시 토양지하수과에도 참석을 요청했다.
서울시는 그동안 용산 기지 안팎의 기름 유출로 인한 수질·토양 오염 우려를 제기하면서 대책 마련을 위해 기지 내부 조사가 불가피하다는 주장을 펴왔다.
2001년 녹사평역 부근에서 기름유출이 첫 확인 되고 나서도 유출은 지속되고 있으나 땜질처방만 이뤄져 왔다는 지적이다.
올해 2월 한국농어촌공사가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금까지 오염이 확인된 녹사평역 주변과 캠프킴(Camp Kim) 대지 면적은 최소 1만2천235㎡(3천700평)에 달하고 지하수도 7천178㎥(718만ℓ)가량 오염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녹사평역 부근의 벤젠 검출량은 평균 1.537㎎/ℓ로 기준치인 0.015㎎/ℓ를 102배를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대수치는 19.671㎎/ℓ로 기준치의 1천311배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밖에 톨루엔·에틸벤젠·크실렌·석유계 총탄화수소의 농도도 평균 수치는 기준치 이하를 기록했지만, 최대 수치는 적게는 8배에서 많게는 74배까지 나타났다.
캠프킴의 경우는 벤젠·톨루엔·에틸벤젠·크실렌의 농도는 2008년 정화 이후 계속 거의 검출되지 않았지만 석유계 총탄화수소의 평균 농도가 기준치(1.5㎎/ℓ)의 50배, 최대 농도는 966배를 기록했다.
서울시는 녹사평역 부근 기름오염이 발견된 직후부터 지금까지 기지 담장 밖에 양수정을 설치해 정화작업을 하는 등 58억원의 비용을 들였으나 오염상태가 개선되지 않았고 실제 오염 규모가 추정치보다 훨씬 클 것으로 보고 용산 기지 내부조사를 요청해왔다.
시는 특히 환경부에는 한미 간 기름유출 관련 공식 논의 채널을 개설하라고 요구하는 한편 주한미군과 주한 미국대사관에는 기지 내부조사 허용을 줄기차게 압박해왔다.
한미행정협정(SOFA)에 따라 주한미군의 협조 없이는 내부 조사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번 ‘3자 회담’을 계기로 기지 내부 조사가 실시될 지 주목된다.
서울시는 아울러 국내외 시민단체와 함께 용산기지 방문 조사를 요청하고 정화 용역보고서를 공개하는 등 ‘여론전’도 가속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오세영 서울시 토양지하수팀장은 “주한미군이 용산기지 내부조사 문제를 논의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환영한다”며 “2016년 반환될 용산기지 내부의 오염 상태와 관련해 근본적인 대책을 함께 찾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주한미군 사령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환경과 관련한 정보 요구에 대해 적극적이며 투명하게 협조할 것이며 매우 의미 있고 생산적인 토의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