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 황조롱이 아파트에 둥지…새끼도 부화

천연기념물 황조롱이 아파트에 둥지…새끼도 부화

입력 2013-05-22 00:00
수정 2013-05-22 16: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천연기념물 323호 황조롱이가 청주 도심의 한 아파트 베란다에 둥지를 틀고 새끼까지 부화해 화제다.

22일 청주시 상당구 금천동의 한 아파트 9층.

이곳 베란다에는 한 쌍의 황조롱이가 갓 부화한 새끼들에게 연방 먹이를 물어다 주느라 분주했다.

황조롱이 가족이 이곳에 둥지를 튼 것은 지난달 초다.

집주인 이모(43)씨는 “베란다의 화단에 정체를 알 수 없는 4개의 알이 있어 비둘기가 낳은 걸로 생각했는데 나중에 보니 검고 동그란 눈을 가진 황조롱이가 알을 품고 있었다”고 전했다.

낯선 인기척에도 알 품기를 게을리하지 않았던 어미 새의 노력에 열흘 전에는 4개의 알 모두 부화에 성공했다.

안타깝게도 태어날 때부터 약해 보였던 새끼 1마리는 죽고 말았지만 나머지 새끼들은 무럭무럭 자라고 있다.

이씨는 “날마다 황조롱이 가족에게 별일 없는지 확인하는 게 우리 가족 일과가 됐다”며 “특히 8살짜리 딸아이가 무척이나 좋아한다”고 말했다.

그는 “황조롱이 가족이 스트레스를 받을까봐 최대한 방해하지 않고 있다”며 “지금처럼만 잘 지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덧붙였다.

매과(科) 맹금류에 속하는 황조롱이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텃새로 주로 비둘기와 쥐를 잡아먹으며 야산이나 들에서 살지만 가끔 도심에서 목격되기도 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