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 전업주부’ 5년만에 34.5% 늘어

‘남자 전업주부’ 5년만에 34.5% 늘어

입력 2011-01-19 00:00
수정 2011-01-19 07: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집안일 때문에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남자는 급증하고 육아 때문에 구직에 나서지 않는 여자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남자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활동상태가 ‘가사’인 경우는 15만6천명으로 2005년의 11만6천명에 비해 5년 만에 34.5% 급증했다.

반면 남자 비경제활동인구는 2005년 473만4천명에서 지난해 535만6천명으로 같은 기간 13.1% 증가에 그쳤다.

비경제활동인구란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만 15세 이상 인구로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상태를 말하며 이 가운데 ‘가사’는 자기 집에서 집안일을 하기 때문에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가 해당한다.

이처럼 ‘남자 전업주부’가 빠르게 증가한 것은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가하면서 고소득, 전문직 등의 참여가 많이 늘어난 영향도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여자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48만5천명으로 2005년의 982만3천명에 비해 6.7% 증가해 같은 기간 남자 비경제활동인구 증가율(13.1%)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특히 미취학 자녀를 돌보기 위해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여자는 오히려 감소세를 보였다.

여자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활동상태가 ‘육아’인 경우는 지난해 146만9천명으로 2005년의 149만7천명에 비해 1.9% 줄었다.

또 활동상태가 ‘가사’인 여자는 지난해 559만6천명으로 2005년의 510만8천명에서 9.6% 늘어 같은 기간 ‘남자 전업주부’의 증가율(34.5%)보다 크게 낮았다.

한편 국세청에 따르면 2008년도 종합소득세 신고자를 분석한 결과 여성의 비율은 2005년 35.5%에서 2008년에는 40.3%로 늘었으며 이런 여성 100명 가운데 18명의 남편은 소득이 없는 전업주부인 것으로 파악됐다.



<표> 성별 가사, 육아 비경제활동인구 추이

(단위 : 천명)

























































































































남자여자
비경제

활동인구
가사비경제

활동인구
육아가사
20054,7341169,8231,4975,108
20064,8851469,8981,5045,118
20074,9601389,9941,4915,205
20085,11714210,1341,5505,262
20095,27814510,4201,5925,407
20105,35615610,4851,4695,596
증감률

(’10/’05)
13.1%34.5%6.7%-1.9%9.6%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