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단체 첫 대북 ‘쌀’ 지원…신의주 203t

민간단체 첫 대북 ‘쌀’ 지원…신의주 203t

입력 2010-09-17 00:00
수정 2010-09-17 10: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민간 대북지원단체인 우리겨레하나되기운동이 17일 파주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CIQ)를 통해 수해 피해를 본 북한 신의주 지역에 쌀 203t을 전달했다.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첫 쌀 지원이다.

 전국농민회총연맹 등 각계 단체와 야 5당으로 구성된 ‘한반도 평화실현을 위한 통일 쌀 보내기 국민운동본부’는 지난 6일 대북지원 사업자 자격을 갖춘 우리겨레하나되기운동 명의로 대북 쌀 반출을 신청해 지난 15일 통일부의 승인을 받았다.

 인도단 5명은 이날 오전 10시께 쌀 203t을 25t 트럭 9대에 나눠 싣고 경의선 육로를 통해 개성으로 향했다.

 이들은 개성시에서 전달식을 한 뒤 귀환하며,쌀은 평안북도 신의주 지역에 지원될 예정이다.

 민주노동당과 통일 쌀 보내기 국민운동본부는 이날 오전 7시20분 임진강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정부가 ‘대북 쌀 지원 절대 불가’라는 태도를 바꿔 적십자사를 통해 쌀 5천t 지원 계획을 세운 것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대규모 쌀 지원을 통해 남북관계 정상화에 적극 나서야 한다”며 쌀 지원 규모를 기존 5천t에서 대폭 확대할 것을 주장했다.

 앞서 16일에는 경기도와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를 비롯한 민간단체가 북한 개성 지역에 밀가루 530t을 지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