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성주 기지 정상화 속도… 탄약고·장병 생활관 등 개선

[단독] 성주 기지 정상화 속도… 탄약고·장병 생활관 등 개선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23-07-05 00:51
수정 2023-07-05 06: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평가 지연에 韓장병들 막사서 지내”
주한미군 내년까지 시설 확충 완료

이미지 확대
23일 오전 경북 성주군 초전면 소성리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기지로 공사 차량이 들어가고 있다. 2018.4.23 연합뉴스
23일 오전 경북 성주군 초전면 소성리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기지로 공사 차량이 들어가고 있다. 2018.4.23 연합뉴스


환경영향평가가 최근 마무리되면서 2017년 4월 첫 배치 이후 7년째 지연됐던 경북 성주군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기지 정상화에 속도가 붙고 있다.

주한미군은 사드 기지 운영을 위한 시설 확충 계획을 논의 중이며 내년 본격적으로 공사를 시작해 연내 완료할 계획이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4일 브리핑에서 “(사드 기지에 대한) 일반 환경영향평가가 (지난달 21일) 마무리돼 이후에 기지 정상화를 위한 후속 조치들이 진행되고 있다”며 “주한미군에서도 필요한 시설을 확보하기 위해 자체 계획에 따라 시설을 확충하고 필요한 것을 만드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군 관계자는 “지금까지 사드를 운용하기 위한 지휘통제시설과 장병 생활을 위한 제반시설에 부족한 게 많았다”며 “시설 확충 대상은 사드 관련 장비 보관 창고, 탄약고, 정수시설, 하수처리시설, 내부 도로망, 위병소를 비롯한 출입통제시설, 경계용 울타리 등 임무 수행과 장병 생활에 필요한 시설”이라고 밝혔다.

사드는 40㎞ 이상 고고도를 비행하는 북한의 중장거리미사일을 요격하는 체계다. 현재 사드 기지에는 발사대 6대와 발사통제장비, 통신장비, 레이더(AN/TPY2)로 구성된 1개 사드 포대가 배치돼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환경영향평가 결과가 늦어지면서 별도 건물을 짓거나 시설을 갖추지 못한 채 골프장 시설이었던 클럽하우스(5792㎡)와 관리동(2211㎡)을 개조해 지휘통제소로 사용하고 있다. 미군 장병 생활관도 클럽하우스 일부와 외부에서 공수해 온 컨테이너로 대체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사드 기지 경계근무를 하기 위해 파견된 우리 장병들은 대형 막사에서 생활하고 있다”며 “우리와 미군이 사용하는 전압이 서로 달라 110v에 맞추기 위해 변압기를 이용해야 하는 등 불편한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라고 전했다.

다른 관계자는 “사드 기지 공사가 끝나면 우리 장병들은 철수하고 미군이 자체적으로 기지 경계 임무를 수행한다”고 말했다.
2023-07-05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