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한미일 3개국이 1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경제안보대화를 개최하고 경제안보 이슈 관련 구체적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용산 대통령실 청사. 뉴스1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용산 대통령실 청사. 뉴스1
회의에서 3국은 ▲경제·기술·에너지 안보에 대한 협력 ▲양자, 우주 기술 등 핵심․신흥기술 협력 ▲디지털 인프라 및 표준 관련 협력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또 ▲반도체·배터리·핵심광물 등 공급망 회복력 강화 ▲민감기술 보호방안 ▲신뢰에 기반한 데이터의 자유로운 이동의 운용 방안 ▲경제적 강압 대응 등에 대한 구체적 협력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회의에는 왕윤종 경제안보비서관, 미국 타룬 차브라·미라 랩 후퍼 선임 보좌관, 일본 다카무라 야스오 국가안전보장국 내각심의관이 각각 수석대표로 참석했다.
회의는 지난해 11월 프놈펜 한미일 정상회담과, 지난 6월 조태용 국가안보실장·제이크 설리번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아키바 다케오 일본 국가안전보장국장이 참석한 3국 안보실장회의에서 논의됐던 경제안보 이슈 후속 논의 차원에서 개최됐다. 지난 2월 제1차 회의에 이어 두번째다.
고혜지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