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이재명 언제 만날까
친문 메시지 논란·면죄부 공세 우려승복 선언·수사 상황 따라 회동 변수
DJ·盧 이틀, MB·朴 13일 만에 만나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
연합뉴스
연합뉴스
“민주당 당원으로서 이재명 지사의 민주당 대통령 후보 지명을 축하합니다.”(문재인 대통령)
이 후보가 지난 10일 민주당의 20대 대선 후보로 최종 선출돼 ‘미래권력’에 한발 다가서면서 ‘현재권력’인 문재인 대통령과의 회동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앞서 김대중 전 대통령은 2002년 4월 29일 노무현 새천년민주당 후보가 확정된 지 이틀 만에 만났고, 이명박 전 대통령은 2012년 9월 2일 확정 13일 만에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를 만났다. 모두 후보들의 요청이었다.
이 후보로서는 대장동 개발 의혹 확산으로 3차 선거인단 투표에서 대패한 데다 이낙연 캠프가 당 지도부 및 선관위의 무효표 처리방침에 강력하게 반발하면서 ‘원팀’으로 화학적 결합이 가능할지 우려가 짙은 터라 문 대통령과의 만남을 조속하게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이낙연 전 대표를 지지하는 의원 대부분과 지지자들이 친문(친문재인) 성향인 것은 물론, 1987년 직선제 개헌 이후 가장 높은 40% 안팎의 5년차 국정지지율을 유지하는 문 대통령의 지지메시지는 본선에도 긍정적이기 때문이다.
11일 청와대에 따르면 아직 이 후보 측으로부터 회동이나 통화 요청을 받지 않았지만, 관례에 따라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다만 문 대통령의 메시지가 여권 지지층에 ‘시그널’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전 대표의 공식 승복 선언 등 경선을 둘러싼 당내 논란이 사그라진 이후에 회동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일각에서는 대장동 개발 의혹의 전개 양상이 변수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문 대통령이 이 후보를 만나 대장동 의혹에 대해 침묵한 채 후보 선출에 대한 덕담과 대선 승리를 기원하기에는 정치적 부담이 크다. 자칫 이 후보에게 면죄부를 줬다는 식으로 비쳐 야권의 파상 공세에 맞닥뜨릴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2021-10-12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