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재외공관 해킹시도 5년간 1만2천건

외교부·재외공관 해킹시도 5년간 1만2천건

입력 2013-09-18 00:00
수정 2013-09-18 11: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09년 대비 올해 3배 증가…보안장비 상당수 내구연한 초과

최근 5년간 외교부와 재외공관에 대한 해킹 시도가 3배 가까이 증가했지만 정보보안 장비의 상당수가 내구연한을 초과해 해킹 방어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원유철 의원이 18일 외교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09년부터 올해 8월까지 외교부 본부와 재외공관에 대한 해킹시도가 총 1만1천900여건을 기록했다.

2009년 1천300여건이던 해킹시도는 올해 8월 현재 3천600여건으로 3배가량 증가했다. 2010년에는 1천900건, 2011년에는 2천600건, 지난해에는 2천300건으로 각각 집계됐다.

올해 유형별 해킹시도의 경우, 홈페이지 해킹시도가 2천553건으로 지난해 283건에 비해 무려 9배가량 증가했다.

이메일 계정 탈취 시도·해킹 메일 수신 404건, 인터넷망을 통한 정보수집 시도 122건, 악성코드 감염 179건, 디도스(DDoS, 분산서비스 거부) 공격 53건, 네트워크 침입탐지시도 80건 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교부 본부와 재외공관에서 운영 중인 외부 침입차단시스템(firewall)은 52대 가운데 29대가, 재외공관에서 본부에 보내는 전문을 암호화하는 장비인 가상사설망(VPN) 7대 모두가 내구연한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교부 본부에 설치한 침입방지시스템(IPS) 10대 전부와 유해트래픽탐지시스템(TESS) 315대 중 308대도 내구연한을 넘겼다.

올해 외교부의 정보보안 관련 예산은 20억5천여만원으로 지난해보다 4억원이 줄었고, 외교부 전체 예산의 0.1% 수준에 그쳤다.

원 의원은 “최근 미국 국가안보국(NSA)의 주미 한국대사관에 대한 도청 의혹과 북한의 사이버테러 가능성 등 정보보안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라면서 “외교부 본부와 178개 재외공관에 대한 해킹 시 엄청난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 정보보안에 대한 총체적 점검과 함께 현실적인 인력,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