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주내 여야 지도부 초청 국정 운영 관련해 협조 구할듯
방미 후 지난주 내내 ‘윤창중 블랙홀’에 빠졌던 박근혜 대통령이 이번 주부터 국정운영 ‘정상화’에 나설 방침이다. 윤창중 파문에 휩싸여 열흘 남짓 수세에 몰렸던 청와대는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주도권을 회복해 정국을 정상 운영하겠다는 복안을 내비치고 있다.우선 여야가 20일까지 새로운 지도부 구성을 완료함에 따라 박 대통령은 이르면 이번 주 여야 지도부를 청와대로 초청해 현안을 논의하고 국정운영에 대한 정치권의 협조를 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 대통령은 지난 15일 정치부장단 만찬에서도 “경선이 끝나기를 기다렸다”며 “조만간 여야 지도부를 만나 방미 등에 대해 여러 가지 의견을 나눌 기회를 갖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회동이 성사되면 새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박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가 함께 자리하는 만큼 큰 틀에서 국정 정상화의 계기가 될 것이란 기대감도 나오고 있다. 박 대통령이 대선 기간 공약으로 제시했던 ‘국가지도자 연석회의’ 구성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관측된다.
국민대통합위와 청년위, 지역발전위 등 대통령직속위원회의 발족도 이번 주부터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는 19일 “정무수석실을 중심으로 위원장단 인선 관련 검증 작업이 진행 중인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르면 이달 말 늦어도 6월 중에 인선결과를 일괄 발표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대통합위는 ▲이념 ▲지역 ▲계층 ▲세대 등의 분과위원회는 물론 지역위원회도 포함되는 메머드급이 될 전망이다. 박 대통령도 지난 18일 제33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해 “5·18 정신이 국민통합과 국민행복으로 승화되어야 한다”며 “앞으로 정부는 국민통합과 국민행복의 새 시대를 열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 달 중순쯤 윤곽이 드러나는 공공기관 경영평가 결과에 따라 공공기관장 인사도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박 대통령은 정치부장단 만찬에서 “전문성과 국정철학 부합을 기준으로 하고 있는데, 이사회나 공모 절차를 거쳐야 해 한참 시간이 걸린다고 하더라”면서 “절차가 진행되는 상황이 꽤 여러 개 있는데 곧 결정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하지만 개성공단을 둘러싼 남북 간 기싸움은 물론 북핵·미사일 문제 등 ‘북한 리스크’와 현재진행형인 윤창중 사태 등이 여전히 중대 변수다.
오일만 기자 oilman@seoul.co.kr
2013-05-2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