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처 제창거부 ‘임을 위한 행진곡’ 안불러
박근혜 대통령이 18일 광주 국립 5ㆍ18 민주묘지에서 열린 5ㆍ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 대선공약인 ‘국민대통합’을 강조했다.박 대통령은 취임 이후 첫 호남 방문이자 현직 대통령으로는 5년 만에 참석한 이날 기념식의 기념사에서 “민주주의의 큰 진전을 이뤄냈지만 계층간, 지역간, 세대간 갈등의 골은 메워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새로운 미래를 열기 위해서는 지역을 넘어, 아픔을 넘어, 대한민국의 역동적 발전을 위해 다같이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5ㆍ18 정신이 국민통합과 국민행복으로 승화돼야 한다”, “앞으로 정부는 국민통합과 국민행복의 새 시대를 열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 “각계각층의 서로 다른 생각들을 하나로 모아 국가발전의 새로운 동력으로 삼겠다” 등의 언급을 통해 국민대통합 의지를 거듭 강조했다.
’국민대통합’은 박 대통령 대선 캠페인의 핵심 슬로건이었다. 따라서 취임 80여일을 맞는 박 대통령이 이날 현대사의 ‘아픔’인 5ㆍ18 행사의 기념사에서 화해와 통합의 메시지를 던지고 상생의 시대를 열 것을 확인하는 것은 예견된 바였다.
하지만 그간 정치권 안팎에서는 박 대통령이 새 정부 조각(組閣)을 비롯한 고위직의 인선과정에서 대선에서의 약속만큼 ‘탕평인사’를 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끊이 지 않았다.
이 때문에 박 대통령의 이날 ‘국민대통합’ 강조를 계기로 새 정부의 인사탕평 등 통합행보가 가시화할지 주목된다.
한편 검은색 정장 차림의 박 대통령은 이날 행사장에 입장한 뒤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와 김한길 민주통합당 대표 등 맨 앞줄에 앉은 참석자들과 일일이 악수하고 인사를 건넸다.
이어 박 대통령은 숙연한 표정으로 ‘5ㆍ18 민주항쟁 추모탑’에 헌화, 분향한 뒤 묵념했다. 박 대통령은 국가보훈처가 제창을 거부해 논란이 된 ‘임을 위한 행진곡’의 합창 때 기립했으나 노래를 따라 부르지는 않았다.
박 대통령은 한나라당 부총재였던 2000년 기념식 하루 전날인 5월17일 처음으로 5ㆍ18 희생자 묘역을 참배했다. 이어 한나라당 대표였던 2004∼2006년에는 야당 대표 자격으로 공식 기념식에 참석했고 대선주자였던 2007년과 지난해는 하루 전 묘역을 찾았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