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윤창중 사건’ 공세 속 수위조절

민주, ‘윤창중 사건’ 공세 속 수위조절

입력 2013-05-14 00:00
수정 2013-05-14 11: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민주당이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의 성추행 의혹 사건에 대한 공세 수위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

이번 사건은 야당으로선 더할 나위 없이 대여공세의 호재인 것임엔 틀림없다. 하지만 자칫 이에 몰입할 경우 정쟁으로 흘러 진흙탕싸움이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또 대선 패배 이후 근본적 변화없이 여권의 실책에만 무임승차해 정국의 주도권을 잡으려 한다는 비판도 뒤따를 수 있다.

무엇보다도 민주당으로선 이 사건의 충격파를 감안할 때 이번 사건이 ‘정국의 블랙홀’이 돼 당이 의욕적으로 내세우고 있는 ‘을(乙) 지키기 경제민주화’ 이슈가 묻힐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민주당은 14일에도 이번 사건에 대한 공세를 이어갔지만 전날보다 더 나가지는 않았다.

김관영 수석대변인은 이날 국회 브리핑에서 “박근혜 대통령은 관련 의혹을 철저히 밝히는 동시에 청와대 기강을 바로 세우고 위기관리시스템을 재정비하라”고 촉구했다.

이언주 원내대변인도 브리핑에서 “잘못된 인선, 어설픈 사고 수습, 자신이 임명한 참모들 관리까지 최종 책임자는 박 대통령”이라며 박 대통령이 사과한 데 이어 문제해결에 직접 나설 것을 촉구했다.

그러나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는 다른 기류가 감지됐다.

박기춘 원내대표가 “박 대통령의 방미 성과는 성과대로 평가돼야 한다”고 이례적으로 언급한 것 외에 다른 원내 지도부는 ‘윤창중 사태’와 관련한 언급을 삼간 채 민생 현안과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데 집중했다.

이 원내대변인의 경우 회의에서 “윤창중 사건으로 정국이 시끄럽지만, 국정원의 불법 대선개입, 별장 성 접대 사건, 남양유업 파문 등이 묻혀서는 안 된다”며 “정의로운 권력과 공정한 시장을 만드는 데 모든 노력을 다해야 한다”고 원내지도부에 건의했다.

김한길 대표도 전날 최고위원회의에 앞서 가진 ‘사전회의’에서 ‘(윤창중 사건이 민주당 지지도 상승에) 약간의 플러스 효과가 있긴 하겠지만, 윤창중 사건의 반사이익에만 기대려 하지 말고 우리의 길을 가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수석대변인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여당의 실패가 국격 훼손과 나라 망신으로 이어졌는데 우리가 즐길 상황은 아니다”며 “단기적이고 국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 사건을 얘기하기보다 여야가 민생국회에 전념하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