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창중 사태 바라보는 北 “국제적 망신” 도발

윤창중 사태 바라보는 北 “국제적 망신” 도발

입력 2013-05-12 00:00
수정 2013-05-12 10: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2일 노동신문 단평 등 맹비난

노동신문. 자료사진
노동신문. 자료사진
북한 언론들이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의 성추문 사태를 계기로 대남 비난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핵 실험 등으로 정치적으로 고립된 북한이 이번 사건을 계기로 돌파구를 찾는 한편 논란을 부추겨 남남갈등을 유발하기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2일 ‘성추행 행각’이라는 제목의 단평을 통해 “며칠 전 미국 행각에 나섰던 남조선 집권자가 도저히 낯을 들 수 없게 한 유명한 사건이 하나 터졌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청와대 대변인 윤창중이 어느 한 호텔에서 현지 여성과 먹자판을 벌리다 성추행으로 미국 경찰의 수사까지 받게 됐다”고 여러 언론에 소개된 내용을 보도했다.

또 “윤창중으로 말하면 거치른 언행과 어지러운 과거경력 때문에 임명 당시부터 ‘부실인사론난’의 주인공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고 비판했다.

조선중앙통신도 “이번 사건이 불거지자 윤 전 대변인을 경질하고 청와대 홍보수석 명의의 사과문을 발표하는 등 소동을 일으켰다”며 “덩달아 여당(새누리당) 패거리가 마치 큰 일이라도 칠 듯이 ‘철저한 조사’니, ‘법적 책임’이니 야단을 치고 있다”고 맹비난했다.

이에 대해 네티즌들은 “이번 기회에 한국 내부 갈등을 유발하고 국론을 분열시키려고 아주 작정하고 덤비네”, “궁지에 몰리니까 더 적극적으로 나서는 듯”, “너희나 잘해라”, “북한이 욕할 정도면 정말 국제적 망신이다” 등 다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온라인뉴스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