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출입 정상…북한, 출입 동의

개성공단 출입 정상…북한, 출입 동의

입력 2013-03-09 00:00
수정 2013-03-09 10: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와 ‘키 리졸브’ 한미연합연습에 반발한 북한의 잇따른 긴장 고조에도 우리 기업 관계자들의 개성공단 출입은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통일부는 9일 우리 입주기업 관계자 111명이 이날 오전 8시30분 개성공단으로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들이 개성공단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북측은 서해 군 통신선을 통해 ‘출입 동의’ 의사를 표시해왔다. 이에 따라 일촉즉발의 남북 간 긴장 고조에도 북측이 개성공단에 대해서는 특별히 상황 악화조치를 취하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가 성명을 통해 불가침 합의 폐기와 적십자채널 차단을 밝힌 8일에는 북측의 공휴일(국제부녀절)로 개성공단 출입은 진행되지 않았다.

주말을 맞아 이날은 우리 입주기업 관계자 총 261명이 개성공단으로 들어가고 409명이 귀환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