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청원 사면 대신 잔형집행면제 등 ‘절충안’ 협의
6.2 지방선거 열기가 고조되면서 한나라당과 미래희망연대(구 친박연대)간 합당 논의가 조금씩 탄력을 받는 분위기다.한나라당으로서는 지방선거 접전 지역에서 희망연대 후보가 나올 경우,보수표 분열로 야당 후보에게 패배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희망연대와의 합당 가능성을 모색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이달곤 전 행정안전부 장관을 출마시킨 경남지사 선거의 경우,이방호 전 사무총장이 경선출마 의지를 굽히지 않고 있는 가운데 희망연대 엄호성 전 의원이 출마 의사를 밝히면서 자칫 무소속으로 출마한 김두관 전 행정자치부 장관과의 싸움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와 관련,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최근 몇몇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희망연대와의 합당 문제에 대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구속 중인 서청원 전 대표에 대해 옥고는 치르지 않되 형기가 진행될 수 있도록 교도소가 아닌 외부 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는 방안 등도 생각해볼 수 있지 않겠느냐”며 서 대표를 매개로 합당 문제를 진척시킬 수 있음을 시사했다.
정의화 한나라당 최고위원도 21일 기자간담회에서 “(양당이) 물밑에서 대화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가능하면 지방선거 이전에 좋은 결론이 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다른 당 고위 관계자도 “두 정당 정책노선의 근본은 다른게 없으므로 합당에 걸림돌은 없다고 본다”며 “희망연대 쪽에서 합당하겠다면 우리는 언제든 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사실상 합당의 조건이었던 서 전 대표 사면문제가 여전히 장애물이다.
서 전 대표가 최근 “나라에 도움이 된다면 합당하되 나를 협상조건으로 내세우지 말라”고 말하고 있음에도 불구,희망연대 내에서는 “그렇다고 백기투항할 수 없다”는 목소리가 여전하다.
다만 유연해진 분위기는 감지된다.서 전 대표 사면 요구에서도 ‘융통성’이 느껴지고 있다.
희망연대 핵심 관계자는 “합당 논의는 여전히 살아있고,큰 줄거리 한 두개 정도만 조율되면 된다”면서 “꼭 사면이 아니더라도 대통령의 여러 권한 중 하나를 활용해 희망연대가 신뢰하거나 믿을 수 있는 액션을 취한다면 서로간의 이해가 맞을 수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희망연대 내에서는 서 전대표에 대한 ‘잔형집행면제’도 해법으로 거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잔형집행면제는 사면의 한가지 방법으로,가석방되거나 복역 중인 피고인의 남은 형기에 대한 집행을 면제해주는 조치다.실제적으로는 사면에 해당하지만,사면이란 용어를 쓰지 않는다는 점에서 정부가 부담을 덜 느끼지 않겠느냐는 셈법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