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콘텐츠산업 수출액 14조원 넘었다

2021년 콘텐츠산업 수출액 14조원 넘었다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3-01-04 11:49
수정 2023-01-04 11: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매출액 137조로 2020년 대비 7.1% 늘어

콘텐츠산업 수출액이 14조원을 넘어서며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한류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022년 콘텐츠산업조사 결과를 4일 발표했다. 콘텐츠산업 분류에 따라 출판, 만화, 음악, 게임, 영화, 애니메이션, 방송, 광고, 캐릭터, 지식정보, 콘텐츠솔루션 등 11개 산업에 대한 통계로, 2022년 조사는 2021년을 기준으로 한다.

2021년 콘텐츠산업 수출액은 124억 5000만 달러(14조 3000억원)로, 전년 119억 2000만 달러 대비 4.4% 증가했다. 매출액은 137조 5000억원으로 2020년 128조 3000억원 대비 7.1% 늘었다. 2021년 전체 산업 생산율이 전년 대비 4.8% 성장한 것을 웃돌았다.

콘텐츠산업 사업체 수는 10만 9000여개로 전년 대비 9.1% 증가했다. 반면 종사자 수는 61만 1000여 명으로 전년 대비 4.8% 감소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문체부가 8개 산업 사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한국콘텐츠진흥원, 영화진흥위원회,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각각 게임, 영화, 방송 산업을 조사한 결과를 인용해 집계했다. 분야별 통계 수치 등은 이번 달 말쯤 확정해 공개한다.

문체부는 콘텐츠산업 수출액이 가전(86억 7000만 달러), 2차전지(86억 7000만 달러), 전기차(69억 9000만 달러) 등 주요 품목 수출액 규모를 넘어 대표적인 수출 품목으로 자리 잡았다고 강조했다. 박보균 문체부 장관은 “이번 통계조사 결과를 토대로 현장감 있는 정책을 수립해 콘텐츠산업을 집중 육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3 / 5
3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