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방울인 줄 알았는데 ‘오줌’…여름철 매미의 비밀

빗방울인 줄 알았는데 ‘오줌’…여름철 매미의 비밀

김유민 기자
김유민 기자
입력 2023-07-29 13:41
수정 2023-07-29 17: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장마 끝나자 곳곳 매미 울음
장기간 유충 생활 끝에 번식

이미지 확대
매미는 ‘맴, 맴’ 하고 우는 곤충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한국에 서식하는 매미 중 ‘맴맴’하고 우는 매미는 참매미이다. 이 때문에 참매미는 한국 대표 매미로 알려져 있다.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매미는 ‘맴, 맴’ 하고 우는 곤충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한국에 서식하는 매미 중 ‘맴맴’하고 우는 매미는 참매미이다. 이 때문에 참매미는 한국 대표 매미로 알려져 있다.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최근 온라인상에서는 ‘한 여름 길 가다가 ‘어 비 오나?’하고 맞았던 것의 정체’라는 제목의 게시물이 화제를 모았다.

과학유튜버 ‘수상한생선’은 ‘나무에서 떨어지는 물방울의 정체’라는 제목으로 매미의 오줌에 대해 다뤘다.

매미는 노린재목에 속하는 곤충으로, 노린재목 곤충들은 찌르는 형태의 입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매미는 이 입을 빨대처럼 나무에 꽂아서 수액을 섭취하는데 이때 들어온 과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꽤 많은 오줌을 눈다. 나무에 붙은 매미를 조금만 오래 관찰하면 매미가 오줌을 발사하는 장면을 볼 수 있다.

유튜버는 “여름철 나무 밑을 지나가다 물방울이 떨어지는 것을 느껴보신 적이 있냐”며 “안타깝게도 매미의 오줌일 확률이 굉장히 크다”라며 “실제로 햇볕이 뜨겁고 더운 날 오줌을 많이 자주 누는데 오줌이 발사될 때 일어나는 수분 증발로 체온을 내릴 수도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영상에는 매미 끝부분에서 물줄기가 ‘찍’하고 날아가는 장면이 담겼다. 유튜버는 “화창하고 뜨거운 여름 날 느낀 물방울의 정체는 매미의 오줌일 확률이 굉장히 큰 것”이라며 “다행히 매미의 오줌 성분은 나무 수액과 비슷하고 인체에 해롭지는 않다고 한다”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매미의 오줌세례
매미의 오줌세례 유튜브 ‘수상한 생선’
짝을 찾기 위해 우는 수컷 매미장마가 그치고 맑은 날이 이어지자 본격적인 여름을 알리는 듯 곳곳에서는 매미 소리가 요란하다.

매미는 땅속에 있으면서 나무뿌리의 수액을 먹고 자라다가 지상으로 올라와 성충이 된다. 번데기 과정이 없이 탈피 과정을 거쳐 어른벌레가 되는 불완전변태로 성충이 된 후에도 나무줄기에서 수액을 먹는다.

매미는 7년 동안 땅속에서 살다가 1달만 지상에서 나와 살다가 죽기 때문에 이제 막 빛을 본 매미를 함부로 잡으면 벌을 받는다는 이야기도 있다.

수컷 매미는 배 아래쪽 윗부분에 특수한 발성 기관을 가지고 있어 소리를 내는데, 매미의 종류별로 발성기관의 구조와 소리가 다르다. 특이한 웃음소리를 내기 위해 자기 몸의 반절 이상을 텅 비워놓는다. 암컷은 발성 기관이 없어 소리를 내지 않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