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간판 뉴스 프로그램 ‘뉴스데스크’가 새달 5일부터 방송 시간을 오후 9시에서 8시로 이동함에 따라 향후 방송계에 미칠 판도 변화에 관심이 쏠린다.
이미지 확대
MBC가 새달 5일부터 메인 뉴스인 뉴스데스크의 평일 방송시간대를 오후 9시에서 8시로 옮김에 따라 8시 뉴스 경쟁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사진은 MBC ‘뉴스데스크’(왼쪽)와 SBS ‘8 뉴스’.
MBC·SBS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MBC가 새달 5일부터 메인 뉴스인 뉴스데스크의 평일 방송시간대를 오후 9시에서 8시로 옮김에 따라 8시 뉴스 경쟁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사진은 MBC ‘뉴스데스크’(왼쪽)와 SBS ‘8 뉴스’.
MBC·SBS 제공
평일 ‘뉴스데스크’가 시간대를 이동한 것은 이 프로그램이 방송을 시작한지 42년만이다.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대도 연쇄적으로 이동이 불가피해 ‘뉴스데스크’발(發) 여파가 어디까지 미칠 것인지 주목된다.
MBC는 2010년 11월 6일 주말 ‘뉴스데스크’의 시간대를 오후 8시로 옮긴 바 있다. 주말에 이어 주중까지 오후 8시로 시간대를 바꿈으로써 MBC ‘뉴스데스크’는 개국부터 8시 뉴스 시대를 개척한 SBS 메인 뉴스인 ‘8 뉴스’와의 정면 대결이 불가피해졌다.
시간대 변경은 김재철 사장이 지난 15일 임원회의에서 뉴스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시간대 이동을 지시하면서 이뤄졌다. ‘뉴스데스크’는 평균 시청률이 지난해 11.1%에서 올해 들어 6%대로 하락하면서 지상파 방송 3사 메인 뉴스 중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
MBC는 ‘뉴스데스크’의 방송 시간대 변경이 국민의 생활패턴과 시청층 변화 등에 따른 것이라고 밝히고 있지만 편성 변경 만으로 추락한 시청률을 만회할 수 있을 지는 불투명하다.
현재 MBC 뉴스가 공정성 시비에 휘말리는 등 파업 사태 이후 뉴스 조직이 정상적으로 운영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주말 8시 뉴스 시간대의 시청률은 MBC 사태 이후 SBS의 우세가 굳어지는 양상이다. 주말 MBC ‘뉴스데스크’ 시청률은 3~4%대에 머무르는 반면, ‘8 뉴스’는 7~10%를 기록하고 있다.
MBC 내부에서도 김재철 사장의 독단적 결정이라면서 반발이 거세다. 이용마 MBC 노조 홍보국장은 “MBC 뉴스의 시청률 하락은 시간대의 문제가 아니라 편파적인 내용 때문”이라면서 “내부 구성원의 뜻을 모으지도 않고 시청자에 대한 분석이나 내용 강화 등 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방비로 ‘뉴스데스크’ 시간대를 옮기고 시간 때우기식 편성을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비판했다.
‘뉴스데스크’의 시간대 이동과 함께 저녁 9시 시간대 프로그램도 바뀌게 됐다. MBC 일일극 ‘그대없인 못살아’는 월~금요일 오후 7시15분에 방송된다. 월~금요일 오후 7시 45분에 25분간 방송되던 시트콤 ‘엄마가 뭐길래’는 방송 횟수를 줄이고 회차당 시간을 늘려 월·화요일 오후 8시 50분부터 65분간 방송된다. 수~금요일 오후 8시50분에는 ‘MBC 스페셜’ ‘불만제로 업’ ‘최강연승퀴즈쇼Q’가 이동 편성된다. MBC와 SBS의 밤 9시대 프로그램간 경쟁이 과열될 것이라는 전망이 벌써부터 나온다. ‘뉴스데스크’의 방송시간 변경에 맞춰 종합편성채널 JTBC는 발빠르게 평일 메인 뉴스 시간을 밤 10시에서 9시로 1시간 앞당긴다.
8시 뉴스와 9시 교양 프로그램 시간대를 이미 선점한 SBS는 건전한 콘텐츠 경쟁을 통해 파이를 늘려 지상파를 떠난 시청자를 붙잡는 것은 환영했지만, ‘뉴스데스크’의 이동 효과에 대해서는 의문을 표시했다. SBS의 고위 관계자는 “편성 변경은 콘텐츠의 질이 좋음에도 불구하고 빛을 보지 못할 때 이뤄지는 것이며 MBC 뉴스는 시간대의 문제가 아니라 뉴스 콘텐츠로서의 가치가 문제”라고 말했다. 뉴스 경쟁 프로그램이 사라진 KBS ‘뉴스 9’는 대신 MBC와 SBS의 드라마·교양 프로그램과 맞대결을 펼쳐야 한다.
KBS의 한 관계자는 “이미 주말 시간대에 양사의 드라마 협공 속에서 순항하고 있는 만큼 심층화·집중화 등 KBS 뉴스가 지향하고 있는 가치를 더욱 공고히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2012-10-31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