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정계비 여정 그린 지도 첫 발견

백두산정계비 여정 그린 지도 첫 발견

입력 2012-10-18 00:00
수정 2012-10-18 00: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립중앙도서관, 콜레주 드 프랑스 소장 ‘쿠랑 도서’ 254책 대량 발굴

‘한국서지’(Bibliographie Coreenne)의 저자인 프랑스의 동양학자 모리스 쿠랑(1865~1935)이 수집한 한국 고서가 대량으로 발견됐다고 국립중앙도서관이 17일 밝혔다. 특히 자료 중 숙종 때 조선과 청나라가 국경을 확정하며 백두산에 정계비를 세운 여정을 그린 ‘임진목호정계시소모’(壬辰穆胡定界時所模)는 최초로 발견된 지도로 사료적 가치가 높다. 또 20세기에 필사된 ‘해동제국기’(海東諸國記)도 희귀본이다.

천하제국도의 강원도 지도(사진 위)에 우산도(독도·원표시)의 모습이 뚜렷이 보인다. ‘임진목호정계시소모’는 숙종 때 조선과 청나라가 국경을 확정하며 백두산에 정계비를 세운 여정을 그린 귀중본이다.  국립도서관 제공
천하제국도의 강원도 지도(사진 위)에 우산도(독도·원표시)의 모습이 뚜렷이 보인다. ‘임진목호정계시소모’는 숙종 때 조선과 청나라가 국경을 확정하며 백두산에 정계비를 세운 여정을 그린 귀중본이다.
국립도서관 제공
국립도서관은 해외 한국 고서 디지털화 사업의 일환으로 콜레주 드 프랑스가 소장한 한국 고서를 조사하던 중 쿠랑이 소장했던 254책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자료는 이 기관이 쿠랑 사후인 1936년 두 번에 걸쳐 구입한 것이다.

이미지 확대
모리스 쿠랑
모리스 쿠랑
쿠랑은 파리 태생으로 파리대학 법대와 동양어학교에서 고등교육학위를 받고 중국 베이징의 프랑스공사관 통역관 실습생으로 파견됐다가 1890년 통역서기관으로 서울에 왔다. 주한 프랑스공사 콜랭 드 플랑시가 수집한 장서를 검토하고 이후 프랑스국립도서관, 기메박물관, 영국국립도서관 등지에 소장된 한국 고서를 조사하고 ‘한국서지’를 저술했다. 리옹대학 중국어과 교수를 지냈다. 그가 쓴 ‘한국서지’는 한국학이라는 용어조차 없던 19세기 말~20세기 초에 작성된 한국 고서에 대한 방대한 규모의 자료로, 1894년 이래 1901까지 본책 3권과 보유판 1권으로 발간됐다. 1901년에 발간된 이 책 보유판에는 현존하는 최고의 금속활자본인 직지심체요절의 목록이 수록됐다.

이번 조사를 담당한 국립중앙도서관 관계자는 “조선 후기 필사본 고지도인 천하제국도(天下諸國圖)에 수록된 지도 중 1712년(숙종 38) 조선과 청나라가 백두산 주변을 조사한 후 정계비를 세운 여정을 그린 ‘임진목호정계시소모’는 최초로 발견된 자료이고 필사본 ‘해동제국기’도 희귀본이다.”라고 했다. ‘임진목~’의 강원도 지도에는 울릉도 남쪽에 우산도(于山島·독도)가 그려져 있어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도서관은 덧붙였다. 콜레주 드 프랑스는 1530년에 국왕 프랑수아 1세가 설립한 연구기관으로, 한국 고서는 쿠랑 수집본을 포함해 모두 53종 421책을 보유하고 있다. 도서관은 ‘국외 한국 고문헌 조사보고서I: 콜레주 드 프랑스 소장 한국 고문헌’을 출간한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12-10-1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