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네치아 AP 연합뉴스

지난 9일(현지시간) 수위가 해수면보다 45㎝ 아래로 내려간 이탈리아 베네치아 운하 바닥에 곤돌라들이 발이 묶여 있다.
베네치아 AP 연합뉴스
베네치아 AP 연합뉴스
운하를 오가던 곤돌라들은 발이 묶였고 진흙 뻘이 보일 정도가 됐다. 수심이 해수면보다 50㎝ 아래로 내려간 곳도 어떤 곳은 더 아래로 내려가기도 했다고 영국 BBC가 13일(현지시간) 전했다. 특히 응급 환자나 화재가 발생했을 때 수로를 통한 이동이 불가능해 대책이 요구된다고 ANSA 통신은 전했다. 이례적이긴 하지만 과거 비슷한 예가 전혀 없는 것도 아니라고 했다.
2008년 2월 조수 수위가 최저 -83㎝까지 내려가 수로가 텅 비는 최악의 ‘아쿠아 바사’(Aqua bassa·조수 수위가 기준치 밑으로 떨어지는 것)를 겪었다. 최근 들어선 2016년 12월과 2018년 1월에도 -66㎝까지 수위가 내려가 수로 이동이 중단됐다.
그러나 지난해 11월 중순에는 연일 집중호우와 아프리카에서 불어오는 열풍 등의 영향으로 수위가 1966년 192㎝ 이후 최고인 178㎝까지 치솟으며 도시의 80% 이상이 물에 잠기는 피해를 봤다.
물난리가 났을 때와 마찬가지로 운하 바닥이 말라붙어도 여러 문제를 일으킨다고 BBC는 전했다. 물에 잠겼을 때 산 마르코 광장 등 유명 관광지, 명품 점포, 기념품 가게, 식당 등이 문을 닫아 베네치아 시장은 10억 유로 이상의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했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