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원이 애플의 조세회피 의혹을 제기했으나 애플은 이를 부인하고 나섰다.
21일 블룸버그 통신과 파이낸셜타임스(FT) 인터넷판 등에 따르면 미국 상원 상임조사소위원회는 애플이 미국에서의 세금 납부를 회피하기 위해 아일랜드 등 해외에서 자금을 운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소위원회는 “애플이 해외에 보유하고 있는 자금이 1천20억 달러에 달하며 미국에서 발생한 순익 수십억 달러를 아일랜드 법인으로 옮겼다”고 지적했다.
소위원회는 애플이 아일랜드에서 2% 이하의 법인세를 내는 등 해외 법인이 법인세를 내지 않거나 낮은 세율을 적용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애플의 아일랜드 자회사인 ‘애플 오퍼레이션스 인터내셔널’(AOI)은 지난 2009~2012년 300억 달러의 순이익을 기록했지만 이에 대한 세금 신고는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의 칼 레빈 상원의원은 “애플은 세율이 낮은 조세피난처로 순익을 옮기는 것에 만족하지 않았다”면서 “애플은 조세회피를 위한 성배(Holy Grail)를 찾고 있으며 이를 위해 해외 계열사를 만들어 수백억 달러를 예치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애플은 팀 쿡 최고경영자(CEO)가 상원 청문회에 출석하기 하루 전 미리 제출한 서류를 통해 미국에서의 세금 납부를 줄이기 위해 교묘한 조세회피책을 썼다는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애플은 자사가 미국 최대 법인세 납부 기업이라면서 지난해 벌어들인 돈 40달러당 1달러를 세금으로 냈다고 강조했다.
연구·개발(R&D) 비용의 일부를 아일랜드로 전용한 데 대해서도 “미국 법에 따른 것이며 미국의 일자리를 지키기 위한 조치”였다고 강변했다.
애플은 아울러 아일랜드에 설립한 법인인 AOI가 회사간 배당을 통해 해외에서 벌어들인 수익의 상당 부분을 관리하기 위해 만든 ‘명의뿐인 회사’(shell company)란 지적도 부인했다.
애플은 AOI가 자금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이를 통해 벌어들인 투자 수익금은 미국에서도 조세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애플은 이와 함께 미국에서의 조세를 회피하기 위해 자사가 보유한 지적 재산을 해외의 조세피난처로 옮긴 적이 없으며 대표적 조세피난처인 카리브해 섬이나 케이먼 제도에 은행 계좌나 자금을 갖고 있지도 않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 NaonAd center >
21일 블룸버그 통신과 파이낸셜타임스(FT) 인터넷판 등에 따르면 미국 상원 상임조사소위원회는 애플이 미국에서의 세금 납부를 회피하기 위해 아일랜드 등 해외에서 자금을 운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소위원회는 “애플이 해외에 보유하고 있는 자금이 1천20억 달러에 달하며 미국에서 발생한 순익 수십억 달러를 아일랜드 법인으로 옮겼다”고 지적했다.
소위원회는 애플이 아일랜드에서 2% 이하의 법인세를 내는 등 해외 법인이 법인세를 내지 않거나 낮은 세율을 적용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애플의 아일랜드 자회사인 ‘애플 오퍼레이션스 인터내셔널’(AOI)은 지난 2009~2012년 300억 달러의 순이익을 기록했지만 이에 대한 세금 신고는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의 칼 레빈 상원의원은 “애플은 세율이 낮은 조세피난처로 순익을 옮기는 것에 만족하지 않았다”면서 “애플은 조세회피를 위한 성배(Holy Grail)를 찾고 있으며 이를 위해 해외 계열사를 만들어 수백억 달러를 예치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애플은 팀 쿡 최고경영자(CEO)가 상원 청문회에 출석하기 하루 전 미리 제출한 서류를 통해 미국에서의 세금 납부를 줄이기 위해 교묘한 조세회피책을 썼다는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애플은 자사가 미국 최대 법인세 납부 기업이라면서 지난해 벌어들인 돈 40달러당 1달러를 세금으로 냈다고 강조했다.
연구·개발(R&D) 비용의 일부를 아일랜드로 전용한 데 대해서도 “미국 법에 따른 것이며 미국의 일자리를 지키기 위한 조치”였다고 강변했다.
애플은 아울러 아일랜드에 설립한 법인인 AOI가 회사간 배당을 통해 해외에서 벌어들인 수익의 상당 부분을 관리하기 위해 만든 ‘명의뿐인 회사’(shell company)란 지적도 부인했다.
애플은 AOI가 자금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이를 통해 벌어들인 투자 수익금은 미국에서도 조세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애플은 이와 함께 미국에서의 조세를 회피하기 위해 자사가 보유한 지적 재산을 해외의 조세피난처로 옮긴 적이 없으며 대표적 조세피난처인 카리브해 섬이나 케이먼 제도에 은행 계좌나 자금을 갖고 있지도 않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 NaonAd center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