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살때 유괴됐던 한 중국 남성이 구글 지도의 위성사진을 통해 23년 만에 고향집을 찾아낸 사연이 중국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17일 중국 푸젠(福建) 지역 뉴스 포털인 해도망(海都網)에 따르면 올해 28살인 뤄강(羅剛) 씨는 23년 전 중국 쓰촨(四川)성 남서부의 광안(廣安)시에서 유치원에 가던 중 실종됐다.
뤄 씨는 이후 쓰촨성에서 약 1천500km 떨어진 푸젠성에서 입양돼 성장했다. 뤄 씨의 양부모는 그를 친아들처럼 대해주며 키웠지만, 그는 늘 친부모를 찾아야겠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었다.
그러나 어린 나이에 납치됐던 터라 고향에 대한 기억은 마을에 다리가 두 개 있었다는 것뿐이었고 이것만으로는 단서를 찾기가 쉽지 않았다.
뤄 씨는 기억 속 고향의 지형도를 그린 뒤 실종 아동들을 찾는 인터넷 사이트에 도움을 청했고 지난달 쓰촨성 광안에서 한 부부가 23년전 아들을 잃었다는 귀중한 정보를 얻게 됐다.
그는 즉시 광안 지역 사진 검색에 나섰고 구글 지도의 위성사진을 통해 광안 부근의 야오자바라는 곳에서 기억 속의 교량을 발견했다.
뤄 씨는 지난 9일 고향을 찾아 친부모와 23년 만에 재회했다. 그는 “구글 지도의 도움이 없었다면 이 일을 해내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홍콩 언론은 뤄 씨를 입양한 사람들의 범죄 혐의는 확실치 않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17일 중국 푸젠(福建) 지역 뉴스 포털인 해도망(海都網)에 따르면 올해 28살인 뤄강(羅剛) 씨는 23년 전 중국 쓰촨(四川)성 남서부의 광안(廣安)시에서 유치원에 가던 중 실종됐다.
뤄 씨는 이후 쓰촨성에서 약 1천500km 떨어진 푸젠성에서 입양돼 성장했다. 뤄 씨의 양부모는 그를 친아들처럼 대해주며 키웠지만, 그는 늘 친부모를 찾아야겠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었다.
그러나 어린 나이에 납치됐던 터라 고향에 대한 기억은 마을에 다리가 두 개 있었다는 것뿐이었고 이것만으로는 단서를 찾기가 쉽지 않았다.
뤄 씨는 기억 속 고향의 지형도를 그린 뒤 실종 아동들을 찾는 인터넷 사이트에 도움을 청했고 지난달 쓰촨성 광안에서 한 부부가 23년전 아들을 잃었다는 귀중한 정보를 얻게 됐다.
그는 즉시 광안 지역 사진 검색에 나섰고 구글 지도의 위성사진을 통해 광안 부근의 야오자바라는 곳에서 기억 속의 교량을 발견했다.
뤄 씨는 지난 9일 고향을 찾아 친부모와 23년 만에 재회했다. 그는 “구글 지도의 도움이 없었다면 이 일을 해내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홍콩 언론은 뤄 씨를 입양한 사람들의 범죄 혐의는 확실치 않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