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위안부 입장, 한국 등에 외교통로로 설명할 것”

일본 “위안부 입장, 한국 등에 외교통로로 설명할 것”

입력 2013-05-14 00:00
수정 2013-05-14 11: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하시모토, 트위터에 “남자에게 성욕해소는 필요”

일본 정부는 14일 일본군 위안부가 당시에 필요했다는 하시모토 도루(橋下徹) 일본유신회 공동대표의 전날 발언과 관련, 한국 등 관련국에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정부의 입장을 설명하겠다고 밝혔다.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야당 대표의 발언이기에 정부 입장에서 코멘트할 일은 아니다”라고 전제한 뒤 하시모토의 발언이 한국, 미국 등과의 외교에 영향을 줄 가능성에 대해 “정부의 입장을 외교루트를 통해 열심히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스가 장관은 위안부 문제에 대한 현 정부의 입장에 언급, “필설로 다하기 어려울 만큼 괴로워하는 사람들에 대해 마음 아파하고 있다”며 “이는 아베 내각도 역대 내각과 같은 입장”이라고 밝힌 뒤 “이 문제를 정치·외교문제화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일본군과 관헌의 위안부 강제동원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1차 아베 내각 당시 각의 결의 내용을 답습하느냐는 질문에 “이전 아베 내각때의 각의 결의에 입각해, 나라 안팎의 역사학자 등에 의해 여러가지 연구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이 문제에 대해 학술적 관점에서 한층 더 검토가 거듭되기 바란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파문의 장본인인 하시모토 공동대표는 이날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인간, 특히 남자에게 성적 욕구 해소가 필요한 것은 엄연한 사실”이라며 ‘소신’을 재확인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