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글라데시 의류공장서 또 불… 최소 8명 사망
의류공장 건물 붕괴로 930명이사망한 방글라데시에서 이번에는 의류공장에 불이 나 최소 8명이 사망했다.9일 AP통신에 따르면 전날 밤 수도 다카의 미르푸르 공단 내 11층 규모의 ‘둥하이 스웨터’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공장 소유주와 경찰 1명 등 적어도 8명이 숨졌다. 경찰당국은 늦은 시간에 화재가 발생해 공장 직원 300여명은 대부분 귀가한 상태였으나 건물 내에서 회의 중이던 일부 공장 관계자들이 밖으로 탈출하지 못해 변을 당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고는 지난달 24일 다카 외곽 사바르 공단 내 라나플라자 건물 붕괴 참사 이후 안전에 대한 점검과 후속 조치가 이뤄지고 있는 시점에서 발생해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압둘 라티프 시디크 방글라데시 섬유장관은 이날 안전에 문제가 있는 의류 공장 18곳을 폐쇄 조치했다고 밝혔다. 라나플라자 붕괴 사망자는 9일 오전까지 912명으로 집계됐다. 앞서 지난해 12월에는 다카 인근 타즈렌 패션 의류공장 화재로 112명이 숨졌다. 방글라데시 의류공장 참사를 계기로 유명 브랜드가 판매하는 저가 의류의 열악한 생산 공정 실태가 낱낱이 드러나면서 ‘공정무역 커피’처럼 의류에도 공정무역 도입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미국 유통업체 노르드스톰은 의류 생산 환경에 관한 정보 공개를 검토 중이며, 나이키와 월마트 역시 생산 공장의 근로환경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지수를 개발해 활용할 계획이다. 영국의 천연소재 비누 및 화장품 제조사인 러쉬는 케냐와 가나 공장의 내부 사진을 공개하고 있으며, 미국의 온라인 의류판매회사인 에벌레인도 최근 홈페이지에 각 생산 공정에 관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의류 업체들이 최소의 비용으로 제품을 생산하려는 전략을 바꾸지 않는다면 공장의 안전과 노동환경은 개선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문가의 말을 인용하면서 방글라데시의 참사가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등 다른 아시아 국가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순녀 기자 coral@seoul.co.kr
2013-05-10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