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현금이 지나치게 많아서 문제”< WSJ>

“삼성, 현금이 지나치게 많아서 문제”< WSJ>

입력 2013-05-08 00:00
수정 2013-05-08 11: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삼성전자가 애플처럼 지나치게 현금을 많이 보유하고 있어 문제가 될 것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스마트폰 부문에서의 이익 증가로 막대한 현금을 손에 쥐게 됐는데 이를 배당금 인상이나 자사주 매입, 기업 인수와 설비 재투자 등 어디에 사용할지 ‘행복한 고민’이 예상된다는 지적이다.

삼성의 올해 1분기 순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월 말 기준으로 삼성이 보유한 현금과 현금성 자산은 400억 달러(43조6천억원 가량)에 달했다.

이 가운데 부채를 제외한 순현금은 285억 달러(31조2천억원)로 2012년 한해 동안에만 세배 규모로 증가했다.

S&P 캐피털 IQ에 따르면 삼성의 현금 보유액은 금융·에너지 업종을 제외하면 차이나 모바일(640억 달러)에 이어 아시아에서 두번째로 많다.

삼성의 현금 보유액이 급증한 것은 스마트폰 부문의 이익이 늘어난 덕분이라고 이 신문은 분석했다.

과거에는 대규모 설비 투자가 필요한 반도체와 부품 부문이 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했지만 최근 들어 자본 투자 필요성이 덜한 스마트폰 부문이 영업이익의 74%를 차지하고 있다.

삼성의 지난해 설비투자액이 전년과 비슷한 22조8천억원에 머무르는 등 대규모 투자 움직임이 없고 인수·합병에도 별다른 의지를 내보이지 않는 점도 현금 보유액이 늘어난 이유로 지목됐다.

이 때문에 삼성은 애플과 같은 상황은 아니더라도 조만간 배당금 인상이나 자사주 매입에 대한 주주들의 요구에 직면할 것이라고 WSJ는 전망했다.

애플은 현금성 자산 보유액이 3월 말 기준으로 1천447억 달러에 달해 2015년까지 1천억 달러를 주주들에게 돌려줄 계획이다.

4억 달러 상당의 삼성 주식을 보유한 미국 교직원연금보험(TIAA-CREF)의 윌리스 차이 자산리서치 담당 이사는 “삼성에 그 많은 현금을 어떻게 쓸 계획인지를 가장 먼저 물어보겠다”고 말했다.

홍콩의 리서치 회사 샌퍼드 C.번스타인의 마크 뉴먼 애널리스트는 “삼성의 현금 보유액은 점점 ‘충분한 수준’을 넘어서고 있으며 2015년까지 100조원대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앞으로 2∼3년 내에 어떤 방식으로든 주주들에게 이익을 환원하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