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언론 반응
미국 언론들은 박근혜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정상회담을 통해 60주년을 맞은 양국 간 동맹 관계를 더욱 공고하게 하는 한편 대북한 접근 방법을 대화로 바꾸는 방안을 모색한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박 대통령이 정상회담에 앞서 미 CBS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작은 도발이라도 하면 반드시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단호하게 말한 것을 일제히 보도하며 관심을 표명했다.블룸버그 통신은 6일(현지시간) “박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이 북한의 위협에 대해 견고한 전선을 과시하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이 CBS 인터뷰에서 강경한 자세를 취했다고 덧붙였다. CNN 방송은 “대니얼 러셀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이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기자들에게 ‘북한의 최근 위협은 오히려 한·미 간의 동맹관계를 강화시켜 줄 뿐’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전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박 대통령이 전임 대통령들과 마찬가지로 60여년 전인 6·25전쟁 때로 거슬러 올라가는 양국 동맹 관계를 굳건하게 하고자 취임 후 첫 방문국으로 미국을 선택했다고 소개했다. 신문은 박 대통령이 지난해 대선 후보 시절부터 북한의 추가 군사 도발은 더 큰 보복을 가져올 것이라는 점을 분명하게 경고하면서도 이른바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의 하나로 대화를 추구해 왔다고 전했다.
또 이번 방문단에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과 정몽구 현대차 회장을 비롯한 52명의 산업계 대표가 대거 포함됐다면서 이는 북한을 둘러싼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한 미국 투자자들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지난해 발효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이점을 널리 알리려는 의도라고 신문은 강조했다.
워싱턴 김상연 특파원 carlos@seoul.co.kr
2013-05-08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