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독극물 편지’ 피의자 집·사무실서 리친 발견

‘美 독극물 편지’ 피의자 집·사무실서 리친 발견

입력 2013-05-01 00:00
수정 2013-05-01 09: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등에게 맹독 물질 리친을 넣은 편지를 보낸 혐의로 기소된 무술강사 제임스 에버렛 두치케(41)의 집과 사무실에서 리친이 발견됐다고 미국 연방수사국(FBI)이 30일(현지시간) 밝혔다.

FBI 등 수사 당국이 법원에 제출한 공소장과 진술서 등에 따르면 두치케는 지난달 22일 자신의 예전 무술도장을 찾아 리친을 추출하는 기구와 방진마스크 등 물품을 자동차를 이용해 집에서 약 100야드(약 91m) 떨어진 공공 쓰레기장에 내다버렸다. FBI가 쓰레기장과 두치케의 집 밖에서 수거한 물품 등에 대해 실시한 실험에서 리친 양성 반응이 나왔다.

두치케는 또 지난해 11∼12월 온라인 경매사이트인 이베이에서 리친을 추출할 수 있는 식물인 피마자 100개를 주문했으며, 12월31일 리친을 다루는 방법 설명서를 내려받았다.

두치케는 자신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삭제하려 했으나, 지난 1월 경찰이 두치케를 아동추행 혐의로 기소할 때 컴퓨터를 확보해 이 같은 기록을 확보했다.

미시시피주 옥스퍼드 연방지방법원에서 생물학적 독성 물질의 개발·제조·사용 등의 혐의로 재판받을 예정인 두치케에겐 유죄가 확정되면 최고 종신형이 내려질 수 있다.

두치케는 그러나 “나는 애국적인 미국 시민이고, 타인에게 전혀 원한이 없다”며 “독극물 편지를 보내지 않았다”고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