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일 쿠릴열도 영유권 협상 23일 재개

러·일 쿠릴열도 영유권 협상 23일 재개

입력 2012-10-20 00:00
수정 2012-10-20 0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日서 구체적 방안 논의하기로

일본과 러시아가 쿠릴열도(일본명 북방영토)를 둘러싼 영유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질적인 회담을 여는 계획을 확정했다고 일본 관리들이 19일 밝혔다. 사이키 아키타카 일본 외무성 차관과 이고리 모르굴로프 러시아 외교부 아시아 담당 차관은 이날 일본 도쿄에서 실무회의를 갖고 오랫동안 중단됐던 쿠릴열도 협상을 재개하는 데 합의했다. 이에 따라 겐바 고이치로 일본 외무상과 니콜라이 파트루셰프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는 오는 23일 일본에서 만나 좀 더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실무회의에서는 오는 12월로 예정된 노다 요시히코 일본 총리의 방러 기간에 쿠릴열도 문제에 대한 협정을 도출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논의했으나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다고 관리들이 전했다. 사이키 차관은 또 일본과 중국 간 영유권 분쟁이 첨예한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분쟁 상황에 대해 설명했으며 이에 모르굴로프 차관은 “양국이 대화를 계속해 평화적으로 해결하기를 바란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은 홋카이도 북서쪽의 쿠릴열도 가운데 이투루프(일본명 에토로후), 쿠나시르(구나시리), 시코탄, 하보마이 등 4개 섬이 자국 영토라며 러시아에 반환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러시아는 쿠릴열도가 제2차세계대전 이후 합법적으로 러시아에 귀속됐다며 양보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도쿄 이종락특파원 jrlee@seoul.co.kr



2012-10-20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