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소들하고 허룩한/안미현 수석논설위원

[길섶에서] 소들하고 허룩한/안미현 수석논설위원

안미현 기자
입력 2022-02-07 20:32
수정 2022-02-08 01: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길섶에서
길섶에서
비슷한 뜻을 지닌 우리말을 비슷한 시기에 알게 됐다. 허룩하다와 소들하다. 여태 그 말을 몰랐느냐며 혀를 차는 이도 있겠다. ‘허룩’을 접한 것은 고(故) 박완서 작가의 책에서다. 복닥거리던 슬하의 5남매가 하나둘 짝을 찾아 떠나면서 ‘식구가 허룩해졌다’고 작가는 썼다. 문맥으로 짐작은 갔으나 눈에 설어 사전을 찾아보니 ‘양이 줄어 적은 것’이라고 풀어 준다. 친절하게 ‘허룩한 가방’이라고 예시까지 알려 준다. 그런데 허룩한 지갑이 먼저 떠오른다.

바로 다음날 점심을 함께 하던 직장 동료가 “소들하다”고 했다. 소들? 곧바로 검색 들어가니 ‘생각보다 양이 적어 마음에 덜 차다’라는 뜻이란다. 신기했다. 어감은 분명 다르지만 하루 간격으로 적다는 뜻의 낱말을 연달아 알게 되다니…. 대단한 지식이라도 얻은 양 오졌다.

그런데 왜 하필 적다일까. 많다는 우리말이 뭐였더라. 생각을 더듬다가 피식 웃고 말았다. 이거네, 소들과 허룩이 난데없이 찾아든 이유가. 이제 좀 덜어 내며 살라는 뜻이었네.

2022-02-0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