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시대] 장인의 시대/서정욱 배재대 심리철학과 교수

[지방시대] 장인의 시대/서정욱 배재대 심리철학과 교수

입력 2013-05-21 00:00
수정 2013-05-2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서정욱 배재대 심리철학과 교수
서정욱 배재대 심리철학과 교수
신화가 다 그러하듯이 고대 그리스 신화도 작가마다 다르게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고대 그리스 신화의 중심에는 항상 제우스가 있다. 제우스는 많은 자식을 두었지만 부인 헤라와의 사이에서 낳은 자식은 아레스뿐이란 주장도 있다. 그런가 하면 제우스 혼자 자식을 낳은 경우도 있다. 물론 엄밀한 의미에서 제우스 혼자 낳은 것은 아니다. 바로 지혜의 여신이며 그리스의 수도 아테네의 수호신인 아테나이다.

제우스는 신과 인간 중에서 가장 아는 것이 많은 메티스에게 임신을 시킨다. 그러나 제우스는 메티스가 낳을 아기가 자신의 자리를 차지할지 모른다는 불안감으로 임신한 메티스를 삼켜버렸다. 그러나 제우스의 뱃속에서 아기는 무럭무럭 자라 머리를 뚫고 태어났다. 이 신이 바로 아테나다. 이 사실을 안 헤라가 화가 나서 자신도 혼자 아기를 낳을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기 위해서 임신을 하고 아들을 낳았다. 바로 이 신이 헤파이스토스이다. 화가 난 제우스가 올림포스 산에서 헤파이스토스를 던져버렸다. 다행히 죽지는 않았지만 태어나자마자 제우스로부터 버림받은 헤파이스토스는 평생 절름발이로 살아야 했다.

바로 이 헤파이스토스가 대장장이로 성장하였고, 장인의 신이 되었다. 이후 유럽에서는 장인의 중요성이 항상 강조되었다. 플라톤은 이상국가를 설명하면서도 모든 백성들에게 각자에게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할 것을 주문한다. 즉, 장인정신의 강조다. 그리고 이 장인이야말로 국가의 기본 틀을 만드는 기초이기도 하다.

언제부터인가 우리나라에서는 장인이 사라지고 있다. 어떤 사람은 대기업이 골목상권까지 장악하면서 장인들을 모두 몰아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것보다 더 큰 문제는 장인을 육성하지 않은 국가정책일 것이다. 장인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이 없다 보니 장인들은 자신의 일을 자식에게 물려주지 않았고, 자식들도 신통치 않은 선조들의 정신을 잇고 싶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다행히 대를 이어 먹거리로 장인정신을 이어가는 몇몇 가문들이 있다. 대도시가 다 그러하듯이 신도시가 개발되면서 구도심은 공동화 현상이 심각하다. 이 공동화 현상을 잘 극복할 수 있는 요소를 우리는 바로 구도심의 먹거리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대전은 대전을 지킨 먹거리 장인들이 한국의 대표 브랜드로 발전시켰다.

대전이 낳은 대표적인 토종 빵집이 대전역에 지점을 내자 빵 한 개를 구입하기 위해서 기차 시간도 잊은 채 줄을 서는 모습이 최근 대전역에서 볼 수 있는 이색풍경으로 자리 잡았다. 1980년대 가락국수 한 그릇을 위해 기차 정차시간까지도 늘린 일들을 떠올리기에 충분하다. 대전에는 닭 하나만으로 전국적인 상표로 발전시킨 장인도 있다. 특히 대전에는 다양한 부속재료를 활용한 칼국수 음식이 발달해 수십년째 문전성시를 이루는 집들이 많다. 이 모두가 한길만을 위해 앞만 보고 간 장인이 있었기에 가능하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라고 했다. 가장 대전적인 것이 가장 한국적인 것이라 해도 이제 과언이 아니다. 장인들이 그 지역을 대표하고 대대손손 자랑스럽게 이어가는 시대가 기다려진다.

2013-05-2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