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시각] 우리 안의 ‘퍼기’/임병선 체육부장

[데스크 시각] 우리 안의 ‘퍼기’/임병선 체육부장

입력 2013-05-10 00:00
수정 2013-05-10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임병선 체육부장
임병선 체육부장
미국 CNN은 8일 오후 5시 30분쯤부터 알렉스 퍼거슨(72) 프리미어리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감독의 은퇴 발표를 ‘브레이킹 뉴스’로 전했다. 영국 맨체스터를 연결하고 전문가를 불러 좌담을 하는 등 3시간 가까이 법석을 떨었다. 그 시간 지구촌에서 일어나는 모든 뉴스는 무시되다시피 했다. 구단 홈페이지가 그의 은퇴를 공식 발표한 시점이 영국이나 유럽의 출근시간대임을 감안해도 풋볼이나 농구, 아이스하키에 매달리는 미국의 뉴스채널로선 다소 생뚱맞은 일로 비칠 만했다. ‘저들이 언제부터?’ 궁금증마저 일었다.

그러나 CNN이 퍼거슨의 이름값에만 도취됐을까? 아니라고 본다. 그의 존재감은 이미 피치(‘그라운드’의 영국식 표현)를 벗어나 있다. 다른 분야에서도 본받아야 할 스포츠 리더십에 대한 열광과 환대, 그 의미를 간파한 결과가 아닐까.

오는 20일 0시 호손 스타디움에서 킥오프하는 웨스트브로미치와의 2012~13시즌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최종전이 끝나면 ‘퍼기 영감’의 불그스레한 얼굴, 한 경기를 치를 때마다 껌 10개씩을 씹어대는 그의 입 근육 움직임을 더 이상 피치에서는 바라볼 수 없게 된다.

한 팀에서만 27년을 사령탑으로 지낸다는 것이 지구촌 전체가 하나의 망으로 얽힌 21세기에 가당키나 한 일일까. 그 숱한 도전과 깎아내리기를 어떻게 견뎌냈을까.

‘헤어드라이어’로 대표되는 온갖 부정적인 별칭들을 거느린 퍼거슨이 진정한 명장으로 각인되고 조명되는 것은 팀의 작동 원리를 진정으로 이해했기 때문일 것이다. 팬들의 응원 열기나 심판 판정에 대한 항의의 몸짓 하나까지 치밀하게 계산해 내고 이를 팀의 전술, 나아가 구단의 마케팅 전략에까지 연결할 줄 아는 능력 덕도 있을 것이다.

최근 들어 스포츠 리더십이 상대적으로 더 주목받고 귀한 대접을 받고 있다. 미국 대학농구의 전설 존 우든(1910~2010년)이 첫걸음을 뗐다. 가깝게는 거스 히딩크 전 대표팀 축구 감독이나 퍼거슨 감독이 박지성을 세계적인 선수로 길러낸 ‘구루’(영적인 스승)의 존재값으로 국내 팬들의 머릿속에 매겨졌다.

그 요체는 다른 분야의 지도자들에게서 쉽게 찾기 힘든 수평적 리더십이 아닐까.

올해 만 72세인 그가 20대 초반 선수들에게도 천진난만한 미소를 날리는 모습은 여느 사령탑이 쉽사리 본뜨기 힘든 덕목이다.

이 대목에서 떠오르는 의문. 우리는 왜 그와 같은 지도자를 발견하지 못하고 있는가? 여러 종목에서 근접하는 이름들을 되뇔 수 있지만 이름 석 자를 크게 외칠 수 있는 이는 적다. 체육계만이 아니다. 정치권이나 재계를 봐도 큰 그림자를 확인하기 어렵다. 수평적인 소통이 강조되는 시대라 그렇다고 변명하기엔 멋쩍은 일이다.

더 근본적으로 되새길 일은 우리 스스로 그런 지도자를 키워내지 못할 정도로 협량한 사회를 만들지 않았는가 하는 자책이다. 퍼거슨이란 명장도 극성스럽기로 악명 높은 영국 축구팬들이 참고 오랜 시간 어우러져 퍼올린 지혜의 소산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우리의 눈과 귀가 어두워 그런 지도자를 알아채지 못하고 있을까. 좋은 숲에서 좋은 나무가 자란다. 먼 나라의 명장을 떠나 보내는 이들에 대해 시샘을 느낀다면 그 단순한 교훈부터 되새길 일이다.

bsnim@seoul.co.kr

2013-05-1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