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구글·우리은행·EBS 손잡고 글로벌 초거대 AI 생태계 만든다

LG, 구글·우리은행·EBS 손잡고 글로벌 초거대 AI 생태계 만든다

박성국 기자
박성국 기자
입력 2022-02-22 14:34
수정 2022-02-22 14: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업종 장벽 넘은 AI 개발 연합체 출범

LG그룹의 인공지능(AI) 전담 조직인 LG AI연구원이 국내외 업계별 대표 기업과 손잡고 글로벌 초거대 AI 생태계 조성에 나섰다. 업종을 초월한 AI 환경을 만들겠다는 게 LG그룹의 비전이다.
LG가 주도하는 초거대 AI 생태계. LG AI연구원 제공
LG가 주도하는 초거대 AI 생태계. LG AI연구원 제공
LG AI연구원은 22일 국내외 13개 기업이 모인 ‘엑스퍼트 AI 얼라이언스’(Expert AI Alliance)를 발족했다고 밝혔다. 정보통신(IT)·금융·교육·의료·제조·통신 분야 국내외 기업이 모여 구성한 첫 민간 연합체로, 분야별 상위 1% 전문가 AI와 인간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고객 경험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연합은 LG AI연구원 주도로 구글, 우리은행, 셔터스톡(shutterstock), 엘스비어(Elsevier), EBS, 고려대학교의료원, 한양대학교병원, 브이에이코퍼레이션, LG전자, LG화학, LG유플러스, LG CNS 등이 창립 멤버로 참여했다.

각 기업들은 LG의 초거대 AI ‘엑사원’을 바탕으로 각자 필요한 서비스를 협업을 통해 개발할 예정이다. 초거대 AI는 대용량의 연산이 가능한 컴퓨팅 인프라를 기반으로 대규모 데이터를 스스로 학습해 인간처럼 사고와 학습, 판단까지 할 수 있는 AI를 의미한다. 엑사원은 세계 최대 규모인 6000억개의 말뭉치를 비롯해 텍스트와 결합된 고해상도 이미지 2억 5000만장 이상을 학습했고, LG 계열사와 협업해 전문적인 데이터도 일정 수준 이상 익혔다.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이 22일 온라인으로 열린 발족식에서 글로벌 초거대 AI 생태계 개념을 설명하고 있다. LG AI연구원 제공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이 22일 온라인으로 열린 발족식에서 글로벌 초거대 AI 생태계 개념을 설명하고 있다. LG AI연구원 제공
구글을 슈퍼 컴퓨팅 클라우드 서비스를 LG AI연구원에 제공하고, 초거대 AI 개발에 협력한다. 우리은행은 LG의 엑사원을 활용해 AI 은행원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금융 특화 언어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엘스비어는 엑사원을 기반으로 자사가 보유한 1억건의 의학·과학 분야 전문 문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나서며, EBS는 수학 문제를 AI가 해설하는 서비스를 구축하기로 했다.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은 이날 온라인으로 진행된 연합 출범 행사에서 “파트너사들과의 긴밀한 협력으로 모든 산업 영역에서 상위 1% 전문가 AI를 만들어 기존에 보지 못했던 완전히 새로운 고객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