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에너지는 9일 박미주유소에서 1호 에너지 슈퍼스테이션 개소식을 열었다. 에너지 슈퍼스테이션은 태양광·연료전지 설비를 갖춘 주유소다. 도심 내 작은 ‘친환경 발전소’라고 이해하면 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서울시, SK에너지가 협력해 내놓은 주유소 기반 혁신사업 모델이다.
그간 정유사들이 주유소에 전기·수소 충전 인프라를 구축해왔던 것과는 결이 다르다. 직접 전기를 생산하기 때문이다. 주유소에 연료전지 설비가 갖춰진 것은 박미주유소가 처음이다. 액화천연가스(LNG)를 연료로 전기가 만들어진다. 이 사업이 확대되면 도심 곳곳에 발전소를 갖추게 된다. 정부와 업계는 이를 통해 송배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낮추고 도시의 전력 자급률을 높일 것으로 기대 중이다.
이렇게 생산한 전기를 전기차 충전에 활용할 수 있으면 금상첨화다. 추가 부지를 확보하지 않고도 전기차 인프라를 갖출 수 있어서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과제가 하나 남았다. ‘발전사업자는 전기판매업을 겸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는 현행 전기사업법을 정비해야 한다. 이 법령을 바꾸지 않고서는 주유소에서 생산한 전기를 곧바로 소비자에게 판매할 수 없다. 우선 박미주유소에서 만든 전기는 한국전력이 구매한다. SK에너지는 이 규제가 개선되는 대로 전기를 차량 충전 용도로 공급할 예정이다. SK에너지는 사업을 운영해보고 안전성 등을 입증한 뒤 에너지 슈퍼스테이션 모델을 전국 SK주유소에 확대할 계획이다.
SK에너지 관계자는 “주유소는 에너지 수요가 집중되는 요충지에 있어 미래 전기·수소차 충전 인프라 설치에 가장 적합한 장소”라면서 “앞으로 약 3000개의 에너지 슈퍼스테이션을 구축해 탄소중립 및 수소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고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