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의 한 시중은행 상담 창구 자료사진. 뉴스1
최고 연 10%대 금리 효과 누려사전 조회에 200만명이 몰리는 등 돌풍을 일으킨 ‘청년희망적금’이 21일 출시된다. 만 19~34세 청년층이 연 10%대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상품이어서 관심이 뜨겁다.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기업·부산·대구·광주·전북·제주은행은 이날 오전 9시부터 청년희망적금 가입 신청을 받는다.
청년희망적금은 만 19~34세 청년을 대상으로 저축장려금을 추가 지원하고 이자 소득에 비과세를 지원하는 상품이다. 직전 연도 총급여가 3600만원 이하여야 가입 가능하다. 매월 50만원 한도로 납입할 수 있고, 2년 만기다.
만기까지 납입하면 시중 이자에 더해 저축장려금을 추가로 받을 수 있다. 저축장려금은 1년차 납입액의 2%, 2년차 납입액의 4%만큼 지원된다. 5대 시중은행이 출시하는 청년희망적금의 금리는 5.0~6.0%로, 비과세 혜택까지 고려하면 일반 적금 상품 금리로 환산할 때 최고 10.14~10.49%에 해당한다.
최근 증시가 활기를 잃은 상황이라 청년층은 예·적금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이에 최고 10%대 금리 효과를 볼 수 있는 청년희망적금은 첫째주에 ‘완판’될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시중은행들은 고가의 경품까지 내걸며 치열한 고객 유치전을 벌이기도 했다.
이번주에는 ‘5부제 방식’으로 가입을 받는다. 이날은 1991년·1996년·2001년생이, 22일엔 1987년·1992년·1997년·2002년생이 신청할 수 있다. 가입 신청은 대면, 비대면으로 모두 가능하다.
‘미리보기’ 서비스를 신청한 후 가입이 가능하다는 알림을 받았다면 미리보기를 신청한 은행에서 별도의 가입요건 확인 절차 없이 바로 가입 가능하다. 앞서 미리보기를 신청한 사람들로만 예산 범위를 넘어서면, 이날 이후 신청자는 가입이 어려울 수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