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이후 전셋값 추이
추석 이후 본격적인 이사철로 접어들면서 세입자들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윤달(4월 21일~5월 20일)을 피해 결혼을 늦춘 신혼부부 수요에 더해 재건축 이주 수요까지 몰리고 있어서다. 국민은행의 전국주택가격 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매매가 대비 전세가격 비율은 62.1%로 2003년 10월 이후 가장 높았다. 이미 전셋값이 오를 만큼 올라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전셋값 상승은 계속될 전망이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는 최근 10년간 추석 이후 한달간 서울지역의 아파트 전세가격 변동 추이를 조사한 결과 2002년과 2004년, 2008년을 제외하고 모두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대란으로 불린 2010년과 2011년에는 1.03%와 1.25%가 오르기도 했다. 부동산 관계자는 “재계약률이 높아지면서 물건 자체가 없다.”면서 “8~9월에 잠잠했던 전셋값이 10월부터 오름세를 탈 것”이라고 말했다.다만 지난해와 같은 전셋값 폭등 가능성은 낮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수석팀장은 “가을 이사철 전세 수요의 상당 부분이 9월 이전에 소화된 데다 전세 상승률은 0.5% 미만이었다.”면서 “급등세는 한풀 꺾인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전셋값 상승에 따라 월세도 덩달아 뛰고 있다. 지난달 전국 월세가격은 전월보다 0.2% 포인트 올랐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0.2% 포인트 올랐고 지방 광역시가 0.1% 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서울(0.2%)과 경기(0.4%), 인천(0.3%)의 월세 가격 상승이 도드라졌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가 0.4%포인트 상승해 월세 가격 인상을 주도했다.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2012-10-08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