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아이폰5의 전파인증을 또 해지하고 세번째로 전파인증 신청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29일 국립전파연구원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최근 아이폰5의 전파인증을 해지하고 새롭게 전파인증을 신청했다.
이번 전파인증 재신청은 SK텔레콤용 MC(멀티캐리어) 서비스 등 LTE(롱텀에볼루션) 기능과는 관계가 없으며, 3세대(3G) 주파수 대역폭과 관련한 단순 기재오류 탓인 것으로 알려졌다.
SK텔레콤의 3G 주파수 대역폭이 60㎒인데 신청서에 40㎒로 잘못 기재된 것을 바로잡는 수준의 재신청이라는 것이다.
이통사들은 그간 아이폰5의 국내 출시일을 다음달 2일로 예상해 왔으나 제품이 전 세계적으로 물량 부족 등을 겪음에 따라 2일 출시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애플 측도 공식적으로 3차 출시국을 밝히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나 이번 아이폰5의 전파인증 재신청은 제품 출시일과는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이통사들은 보고 있다.
실제로 출시 일자가 2일로 확정된 아이패드 미니도 현재까지 국내 전파인증이 완료되지 않은 상황이다.
애플은 지난달 말 아이폰5의 전파인증을 완료했다가 이달 초 이를 해지하고 전파인증을 재신청해 다시 인증을 받았었다.
연합뉴스
29일 국립전파연구원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최근 아이폰5의 전파인증을 해지하고 새롭게 전파인증을 신청했다.
이번 전파인증 재신청은 SK텔레콤용 MC(멀티캐리어) 서비스 등 LTE(롱텀에볼루션) 기능과는 관계가 없으며, 3세대(3G) 주파수 대역폭과 관련한 단순 기재오류 탓인 것으로 알려졌다.
SK텔레콤의 3G 주파수 대역폭이 60㎒인데 신청서에 40㎒로 잘못 기재된 것을 바로잡는 수준의 재신청이라는 것이다.
이통사들은 그간 아이폰5의 국내 출시일을 다음달 2일로 예상해 왔으나 제품이 전 세계적으로 물량 부족 등을 겪음에 따라 2일 출시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애플 측도 공식적으로 3차 출시국을 밝히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나 이번 아이폰5의 전파인증 재신청은 제품 출시일과는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이통사들은 보고 있다.
실제로 출시 일자가 2일로 확정된 아이패드 미니도 현재까지 국내 전파인증이 완료되지 않은 상황이다.
애플은 지난달 말 아이폰5의 전파인증을 완료했다가 이달 초 이를 해지하고 전파인증을 재신청해 다시 인증을 받았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