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식량 인플레이션 둔화세 진입
이상기후 덮쳐 곡물가 전망 불투명
러·우크라 ‘곡물협정’ 종료도 변수
亞 국가들 쌀 가격 20% 오를 수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치솟던 세계 곡물 가격이 안정되기도 전에 이상기후로 다시 들썩일 조짐이 일고 있다. ‘슈퍼 엘니뇨’가 동남아시아 등의 농업에 타격을 입히고 미국과 유럽에서도 극심한 가뭄으로 밀 등의 작황이 악화되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지난 4일 “엘니뇨 현상이 다시 나타나 농작물과 기반 시설에 피해를 주고, 이로 인한 인플레이션은 각국 중앙은행들이 통화 정책을 강화하도록 압력을 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아지는 현상인 엘니뇨는 ‘슈퍼 엘니뇨’로 몸집을 키워 올여름 각국에 가뭄과 폭염, 폭우 등 이상기후를 예고하고 있다.
로부스타 원두의 주산지인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브라질이 가뭄을 겪으며 로부스타 원두 선물 가격은 지난달 2008년 이후 최고치로 치솟았다. 카카오콩 재배 지역인 서아프리카 국가들에는 폭우가 쏟아져 이달 초 코코아 선물 가격이 46년 만에 최고 기록을 썼다.
미국과 유럽에서도 건조한 날씨로 작황이 악화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제금융센터는 최근 ‘국제 원자재시장 동향 및 주요 이슈’ 보고서에서 “옥수수와 대두 재배 지역인 미국 중서부의 가뭄 비율이 5월 중순 24%에서 6월 말 93%로 확대됐다”면서 “유럽의 3분의1이 가뭄의 영향권에 있다”고 밝혔다.
극심한 식량 인플레이션이 둔화세로 접어드는 가운데 이상기후가 덮치며 곡물 가격 전망을 어렵게 하고 있다. 지난 8일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한 지난달 세계식량가격지수는 122.3으로 전월(124.0)보다 1.4% 하락했다. 지난 3월(159.7%) 최고치를 찍은 뒤 등락을 이어 가다 5월부터 하락세로 돌아섰다. 곡물 가격이 전월 대비 2.1%, 전년 같은 달 대비 23.9% 하락한 가운데 옥수수, 보리, 수수, 밀, 쌀 등 대부분의 곡물 가격이 하락했다.
그러나 여기에 엘니뇨뿐 아니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맺은 ‘흑해곡물협정’의 이달 17일 종료를 앞두고 러시아가 ‘연장 불가’를 압박하고 있는 점, 각국이 곡물 수출을 제한하는 ‘보호무역주의’가 고개를 들 가능성 등도 곡물 가격을 반등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국제금융센터는 “국제 곡물 가격에 정치적 변수마저 가세해 상방 압력이 높아진 가운데 예측 불가능한 날씨로 가격 진폭이 커질 것”이라고 밝혔다.
2023-07-10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