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이앤씨는 사내학습동아리 ‘COP(Community of Practice)’가 메타버스 가상사옥인 ‘메타스페이스’에서 올 상반기 동안 학습한 과제를 교류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4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포스코이앤씨의 메타버스 가상사옥 ‘메타스페이스’의 모습. 포스코이앤씨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포스코이앤씨의 메타버스 가상사옥 ‘메타스페이스’의 모습. 포스코이앤씨 제공
COP는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공동의 관심사에 대해 학습한 지식과 노하우를 상호 공유하며 해당 분야의 기술과 전문성을 체득하는 챌린지형 학습 공동체다.
올해 COP 활동은 총 77개팀, 539명의 직원이 참여했다. 수소 및 이산화탄소 흡착 설비 등 핵심 전문 인재의 기술전수, 챗 GPT를 활용한 업무 효율성 개선 등 최신 IT기술의 업무 적용, 액화천연가스(LNG) 탱크 외조 벽체 최적화 등 업무 고도화, 제로에너지빌딩의 에너지 사용률 최적화 등 신사업 분야 인재육성 등을 학습했다.
앞서 지난해에는 음극재 주요 설비의 국산화 방안 마련, 400㎽급 해상풍력·변전소 설계 기준 수립, 빅데이터 분석 프로그래밍 언어 파이썬을 활용한 콘크리트 견적 프로그램 개발 등 집단지성을 활용해 탁월한 성과를 이뤄낸 바 있다.
포스코이앤씨는 다른 임직원들과 과제 중간결과를 공유하고 의견을 남길 수 있도록 메타스페이스 내 각 팀이 학습한 내용을 게시했다. 특히, 아바타끼리 1대1 대화 기능으로 가벼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했다. 회의실과 카페, 야외 공원도 구현돼 있어 영상회의나 프레젠테이션, 채팅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과제에 대한 깊이 있는 토의도 가능하다.
포스코이앤씨 관계자는 “자기 주도적인 학습과 성장, 도전정신을 발휘하는 직원들을 위한 제도와 공간을 마련했다”며 “COP 활동이 직원들에게 스스로 도전하며 성장할 수 있는 좋은 원동력이 되어 회사의 ‘리얼밸류’를 강화하는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윤수경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