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카드, 학원 매출 데이터 분석


서울 목동의 학원가 모습. 2023.6.26. 연합뉴스.
2일 BC카드 신금융연구소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해까지 매년 1~5월 학원(교육) 업종 매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 대학등록금과 유치원, 유아원, 초중고교에서 발생한 매출을 제외하고 학원비로만 집계한 수치다.
코로나19 초기였던 2020년에는 학교·학원 대면 수업이 제한된 여파로 학원 관련 매출이 전년 대비 14.9% 감소했다. 그러나 이듬해인 2021년 14.6% 증가해 전년의 감소분을 곧바로 반납한 데 이어 2022년 5.6%, 2023년 15.5% 각각 증가했다.
특히나 영유아, 초등학생 학부모가 많은 30∼40대의 지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30대 지출 증가율은 2021년 21.9%에서 2022년 29.2%, 2023년 36.6%로 매년 늘었다. 40대 지출 증가율도 2021년 36.0%에서 2022년 16.5%로 낮아졌다가 2023년 25.7%로 증가했다.
30대가 학원비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5.2%에서 2023년 8.8%로, 40대 비중은 38.3%에서 55.2%로 큰 폭 늘었다. 반면 50대 지출은 46.7%에서 27.8%로 줄었다.
교육부와 통계청이 지난 3월 전국 초·중·고교 재학생 약 7만 4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도 지난해 사교육비는 역대 최대인 26조원을 기록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